[사설]울산 첫 오미크론, 피해 최소화하려면 초기에 잡아야
상태바
[사설]울산 첫 오미크론, 피해 최소화하려면 초기에 잡아야
  • 이재명 기자
  • 승인 2021.12.27 00:1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울산지역에서도 결국 오미크론 변이 확진자가 나왔다. 델타 변이에 비해 70배 더 빠르게 전파되는 것으로 알려진 오미크론은 한번 감염이 시작되면 걷잡을 수 없는 속도로 확산하기 때문에 그 동안 코로나19의 양상을 뒤집을 수도 있다. 최근 세계보건기구(WHO) 유럽 사무소는 “몇주 내에 오미크론이 많은 나라에서 지배종이 될 것이며, 보건시스템을 벼랑 끝으로 내몰 것”이라고 경고했다. 정부도 오미크론 방역에 최선을 다하고 있겠으나 울산시는 더욱 세심하게 확진자를 관리해 더 이상의 확산이 이뤄지지 않도록 해야 할 것이다.

울산시에 따르면 크리스마스가 낀 지난 24~26일 사이 울산에서는 오미크론 변이 확진자가 발생하는 등 164명의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대거 발생했다. 지난 24일 확인된 지역 첫 오미크론 변이 확진자는 지난 20일 미국에서 인천공항으로 입국해 KTX를 타고 울산에 도착, 가족 차량을 이용해 집까지 이동한 것으로 파악됐다. 22일 확진 판정을 받고, 울산 제2생활치료센터에 입소한 상태로 전장유전체 검사로 변이여부를 확인한 결과 오미크론 확진자로 최종 통보받았다. 또 지난 23일 카자흐스탄에서 입국한 2명과 24일 미국, 25일 핀란드에서 각각 입국한 1명 등 총 4명이 코로나 양성 반응을 보여 오미크론 검사 결과를 기다리고 있다.

전국적으로는 26일 0시를 기준으로 오미크론 변이 감염자가 33명 늘어 누적 376명이 됐다. 특히 감염 경로를 알 수 없는 ‘깜깜이 지역감염’ 사례가 증가하고 있어 이미 지역사회에 오미크론 변이가 퍼져 있을 가능성이 높다. 방역당국은 전파력이 강한 오미크론 변이가 내년 2월 내로 델타 변이를 제치고 코로나19의 우세종으로 자리 잡을 수 있다고 전망하고 있다.

오미크론은 해외에서 들어온 경우가 많다. 이번에 울산에서 확인된 오미크론 확진자도 미국에서 입국한 사례다. 따라서 입국 방역 정책을 보완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서울 프랑스발 입국자, 대구 미국발 입국자, 부산 아람에미리트(UAE)발 입국자, 경남 미국발 입국자 사례를 보면 모두가 해외에서 감염된 후 우리나라로 들어온 경우들이다.

전문가들은 “오미크론 변이가 우세종이 되는 추세를 막을 수는 없다”며 “최대한 확산을 지연하고 억제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오미크론 변이 감염자는 어느새 전국 17개 시도 중 충남을 제외한 16개 시도에서 발생했다. 연말연시 울산시와 시민들의 방역태세를 다시 한번 가다듬어야 할 때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
  • 대형 개발로 울산 해양관광 재도약 모색
  • [기자수첩]폭염 속 무너지는 질서…여름철 도시의 민낯
  • 신입공채 돌연 중단…투자 외 지출 줄이고…생산직 권고사직…허리띠 졸라매는 울산 석유화학업계
  • 아마존·SK, 7조규모 AI데이터센터 울산에
  • 울산, 75세이상 버스 무료 교통카드 발급 순항
  • 방어진항 쓰레기로 ‘몸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