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택배업계 점유율 1위인 CJ대한통운 노조가 무기한 총파업에 돌입한다. 올해 들어 4번째 파업인데 울산에서도 조합원 110여명이 참가할 예정이다. 참여자가 전체의 10% 수준에 불과해 파급력이 크지는 않겠지만 장기화될 경우 소비자 피해는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민주노총 산하 전국택배노조 CJ대한통운 울산지부는 28일부터 무기한 총파업에 돌입한다고 27일 밝혔다.
앞서 전국택배노조 CJ대한통운지부는 지난 23일 총파업 찬반투표에서 93.6%의 찬성으로 파업을 가결시켰다.
울산에서는 123명 조합원 중 110명(89.4%)이 총파업에 참여할 예정이다.
CJ대한통운 노조는 “지난 4월 택배요금이 170원 인상됐지만 그 중 51.6원만 사회적 합의 이행 비용으로 쓰고 나머지는 사측의 영업이익이 됐다. 내년에는 요금이 100원 더 오르는데 이럴 경우 사측이 가져가는 이윤은 3500억원이 넘을 것”이라며 “당일배송, 주6일제, 터미널 도착 상품의 무조건 배송 등의 조항이 무리한 근로의 배경이 되고 있다”며 수정을 요구하고 있다.
이에 대해 CJ대한통운 측은 “사회적 합의를 잘 이행하고 있고 택배근로자 처우도 최고 수준이다. 근거 없는 수치와 자료를 기반으로 한 일방적 주장에 유감을 표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택배비 인상은 노조 주장과 다르고 각종 인프라 투자와 터미널 개선 사업 등에 수백억원을 썼다는 것이다.
택배 대란 등 소비자 피해가 우려되자 한국경영자총협회도 입장문을 내고 “택배노조는 올해 들어 이미 세 번의 파업을 강행했고 정부·정치권의 개입과 사회적 합의가 매번 뒤따랐다. 그런데도 택배노조는 연말 성수기 택배 물량을 담보로 자신들의 요구사항을 관철하려 한다”며 “명분 없는 파업을 철회할 것을 촉구한다”고 비판했다.
정세홍기자 aqwe0812@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