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일 영국의 조선·해운 시황 분석업체 클락슨리서치의 잠정 집계에 따르면 지난해 전세계 발주량은 총 4573만CGT(표준선 환산톤수·1846척)이며, 이중 중국은 2280만CGT(965척)를 수주해 50%의 점유율을 기록하며 1위를 차지했다.
한국은 1735CGT(403척·38%)로 2018년부터 3년간 지킨 세계 수주 1위를 자리를 중국에 내줬다. 중국은 해상운임 급등에 따라 발주가 작년 대비 10배 이상 급증한 컨테이너선 수주를 싹쓸이하며 한국을 추월했다.
다만 한국은 슈퍼사이클 도래로 발주량이 크게 늘자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 등 고부가가치 선박을 선별 수주하는 방식으로 수익성을 키운 것으로 풀이된다.
양적인 수주량에서는 중국에 밀렸지만 국내 조선 빅3는 지난해 수주 목표롤 145% 초과달성하는 등 2~3년치 수주 일감을 확보했다.
현대중공업 그룹의 조선 중간 지주사인 한국조선해양은 2021년 총 226척(해양 3기 포함)을 약 228억달러에 수주해 연간 목표치(149억달러)의 152%를 달성했다.
대우조선해양은 60척, 107억7000만 달러어치를 수주해 연간 목표치(77억 달러)를 40% 초과달성했다. 삼성중공업은 80척을 약 122억 달러에 수주해 연간 목표치(91억 달러)의 34%를 초과했다. 김창식기자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