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특정공업지구 60주년, 울산의 저력 되살리는 한해
상태바
[사설]특정공업지구 60주년, 울산의 저력 되살리는 한해
  • 이재명 기자
  • 승인 2022.01.03 00:1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올해는 울산이 특정공업지구로 지정된지 60년이 된 해이자 울산이 광역시로 승격된지 25년이 된 해다. 조그만 어촌이었던 울산이 어엿한 광역시로서 다른 도시와 어깨를 견주게 된 것은 실로 기적같은 일이라고 하지 않을 수 없다. 1962년에 태어난 베이비붐 세대들은 ‘급할시’ ‘공해백화점’ 등 온갖 오명을 뒤집어 쓰면서도 울산을 한국 산업의 심장으로 길러냈다. 그러나 60년의 세월은 사람도 늙게하고 산업도 노후하게 했다. 수주가 끊어져 사람들은 흩어지고 젊은이들은 일자리가 없어 고향을 등지고 있다.

2022년은 울산을 다시 일으켜 세우는 원년이 돼야 한다. 사람들이 다시 돌아오게 하고 젊은이들이 고향을 사랑하게 만들어야 한다. 그 일을 누가 해야 할 것인가. 지역 국회의원들도 열심히 해야하겠지만 결국 모든 책임은 시장에게 돌아가게 돼 있다. 마침 올해는 광역단체장을 뽑는 지방선거가 있다.

통계청이 지난달 발표한 ‘2020년 지역소득’ 자료에 따르면 2020년 전국 지역내총생산(GRDP)의 2019년 대비 실질 성장률은 -0.8%로 조사됐다. 이 중 울산은 역대 최대치인 -7.2%를 나타내며 12개 시도 가운데 가장 큰 역성장을 기록했다. 지난해 이어 올해 주력산업의 경기도 나쁠 것으로 전망됐다. 울산상의가 지역 제조업체 150곳을 대상으로 실시한 2022년도 1분기 기업경기전망지수(BSI) 조사 결과 제조업 경기전망은 전분기(92)보다 3P 하락한 89로 관측됐다.

이제 ‘부자도시’ 같은 인식은 과감하게 버릴 때가 됐다. 실제 부자도시는 서울이다. 가계의 구매력을 나타내는 1인당 개인소득을 살펴보면 서울(2406만원)이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울산(2356만원), 대전(2135만원), 광주(2129만원) 순이었다. 서울은 지난 2017년부터 지금까지 연속 1위를 차지하고 있다. 울산은 어쩌면 영원히 1위 자리를 되찾을 수 없을 지도 모른다.

새로운 도약은 반성에서 시작된다. 한 때 우리민족의 4000년 빈곤을 치유했던 울산의 여건이 갈수록 나빠지고 있다는 사실을 인정해야 한다. 자화자찬의 오만 속으로 빠지지 말고 냉정하게 현실을 둘러보는 것이 먼저다. 하지만 울산은 그 동안 수많은 역경을 딛고 지금까지 우리나라 산업을 이끌어온 저력있는 도시라는 것을 잊어서는 안 된다. 특히 4차산업혁명시대를 맞아 새로운 희망들이 꿈틀대고 있다. 인공지능, 수소산업, 에너지산업 등 할 일은 너무나 많다. 올 한해는 60년 특정공업지구 울산을 재도약시키는 원년이 되기를 바란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
  • 대형 개발로 울산 해양관광 재도약 모색
  • [기자수첩]폭염 속 무너지는 질서…여름철 도시의 민낯
  • 신입공채 돌연 중단…투자 외 지출 줄이고…생산직 권고사직…허리띠 졸라매는 울산 석유화학업계
  • 아마존·SK, 7조규모 AI데이터센터 울산에
  • 울산, 75세이상 버스 무료 교통카드 발급 순항
  • 방어진항 쓰레기로 ‘몸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