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울산지역 연간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2.5%로, 2011년(3.5%) 이후 10년 만에 가장 높았다. 지출 목적별 12개 대분류로 나눠 보면 식료품 및 비주류 음료(6.2%), 교통(5.0%), 음식 및 숙박(2.9%)의 전년 대비 상승률이 전체 상승률을 웃돌았다. ‘밥상물가’로도 불리는 식료품·비주류 음료와 교통 물가는 각각 10년 만에 가장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 세부 품목별로는 지난해 울산에서 배(49.3%) 가격 상승률이 가장 높았던 것으로 집계됐다. 이어 파(36.5%), 마늘(32.4%), 달걀(30.4%), 수박(28.3%), 시금치(26.9%), 사과(25.6%) 등이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
정부가 물가 안정을 위해 각종 대책을 시행하고 있지만, 당분간은 물가 상승세가 계속될 것이란 전망이 많다. 내수 회복 외에도 글로벌 공급 병목 현상, 에너지 가격 상승 등 대외적인 요인이 물가 상승 압력으로 작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한국은행은 지난달 21일 발표한 이슈노트에서 “글로벌 공급 병목 현상이 더 장기화하면 국내에도 그 영향이 광범위하게 파급돼 물가 상승 압력이 높아질 것”으로 전망했다.
이 가운데 정부는 사상 초유의 1월 추경을 계획하고 있다. 더불어민주당은 25조∼30조원을, 국민의힘은 32조∼35조원을 요구하고 있다. 여야 대선 후보들이 이렇듯 앞다퉈 추경 증액을 요구하니 물가는 더욱 오를 수밖에 없다. 여기다 말도 안되는 돈 뿌리기 선거공약들이 남발되고 있다. 이 와중에 한국은행은 인플레이션을 막기 위해 기준금리를 올리고 있다. 한쪽에서는 돈을 풀고 또 한쪽에서는 돈을 거둬 들이는 우스꽝스러운 장면이 연출되고 있는 것이다.
금리가 오르면 대출이 많은 소상공인·자영업자들은 이전보다 더 많은 대출이자를 내야 한다. 또한 과도한 재정지출은 물가 상승을 부채질한다. 코로나19 피해 극복을 위한다는 추경이 오히려 민생을 악화시키는 결과로 이어질 수 있다.
최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에 따르면 사과가 평년 대비 33% 오른 것을 비롯해 배추, 소고기, 돼지고기 등 설 성수품 값이 뛰어 오르고 있다. 소비자들은 장보기가 겁날 지경이라고 한다. 정부는 선거의 정치논리에서 벗어나 물가를 잡는데 주력해주기를 바란다.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