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IST 김재익·임정훈 교수팀, 뇌 신경세포 발달 돕는 단백질 발견
상태바
UNIST 김재익·임정훈 교수팀, 뇌 신경세포 발달 돕는 단백질 발견
  • 차형석 기자
  • 승인 2022.01.27 00:1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UNIST 생명과학과 이소연 연구원, 김재익 교수, 박동근 연구원(왼쪽부터).
UNIST(울산과학기술원) 연구진이 뇌 신경세포 돌기의 성장 발달을 돕는 새로운 단백질을 발견했다.

UNIST는 생명과학과 김재익·임정훈 교수팀이 ‘mtIF3’ 단백질이 뇌 신경세포(뉴런) 발달에 관여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고 26일 밝혔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mtIF3 단백질은 미토콘드리아 번역 조절을 통해 이러한 기능을 수행한다. 미토콘드리아는 에너지를 만드는 세포 속 기관으로, 미토콘드리아 안에 자체 암호화된 단백질들이 합성되는 과정을 미토콘드리아 번역이라 한다. 미토콘드리아에서 번역된 단백질은 에너지 합성 과정에 쓰인다.

연구팀은 자체 개발한 형광센서 기술 덕분에 이같은 사실을 입증할 수 있었다. 미토콘드리아 번역에 필요한 두 물질이 만나게 되면 형광이 방출되는 원리로 작동하는 센서이다. 미토콘드리아 번역이 활성화될수록 형광 세기도 더 커진다.

실험 결과 신경세포 말단에서 ‘mtIF3’ 단백질을 합성하면 형광 센서에서 검출되는 형광 빛의 세기가 커졌다. 또 이 단백질을 억제했을 때는 신경세포 발달이 억제됐다. 이는 mtIF3 단백질이 미토콘드리아 번역을 활성화해 신경세포 발달을 조력한다는 증거다.

이번 연구를 통해 mtIF3 단백질이 국지 번역(합성) 단백질 중 하나라는 사실이 처음으로 밝혀졌다. 세포체로부터 완성품 단백질 대신 전사체(mRNA)를 전달받아 단백질로 바꾸는 과정을 단백질 국지 번역이라 한다. 차형석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
  • 울산 부동산 시장 훈풍분다
  • 2025을지훈련…연습도 실전처럼
  • 국정기획위원회, 국정운영 5개년 계획안 어떤 내용 담았나
  • “울산부유식해상풍력 공적 투자 확대를”
  • [현장&]울산 곳곳에 길고양이 급식소 ‘캣맘 갈등’ 지속
  • 한미 조선협력 ‘마스가 프로젝트’ 울산서 시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