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자리·주거·인구 ‘三절벽시대’]정주여건 유기적으로 개선할 특단 대책만이 ‘탈울산’ 해법
상태바
[일자리·주거·인구 ‘三절벽시대’]정주여건 유기적으로 개선할 특단 대책만이 ‘탈울산’ 해법
  • 석현주 기자
  • 승인 2022.01.27 00:1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치솟는 집값, 높은 취업 문턱의 영향으로 울산의 초혼 연령이 높아지는 한편, 자녀없는 부부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사진은 태화강국가정원을 찾은 가족단위 나들이객들의 모습. 경상일보 자료사진

젊은 도시 울산에서도 출산율이 급격히 낮아지고,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더이상 ‘인구절벽 쓰나미’가 낯설지 않은 가운데 2020년부터 시작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는 이러한 흐름을 더욱 부채질했다. 코로나 확산으로 청년 취업자가 급감했고, 혼인 건수도 역대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다. 여기에다 초단기에 부동산시장 버블이 시작됐고, 미래세대의 주거 사다리마저 단절될 위기에 놓였다. 인구 전문가들은 저출산 현상을 놓고 치열한 경쟁사회의 산물이자, 변화에 적응하는 생존 전략으로 분석하기도 한다. 지역 혼인·출산율 저하의 원인과 인구 위기 상황, 대책에 대해 알아본다.



◇맞벌이로 시작해도 내 집 마련 ‘팍팍한 신혼’

울산지역 내 결혼한 지 5년을 넘지 않은 신혼부부 수가 3만쌍 아래로 떨어졌다. 맞벌이 증가로 부부의 연간 평균소득도 늘고, 주택소유비중 역시 전년도 대비 소폭(1.9%p) 증가했지만, 그만큼 신혼부부의 대출 잔액도 크게 늘었다.

2020년 기준 대출이 있는 울산지역 신혼부부의 비중은 87.1%로 전년도 대비 2.7%p 증가했다. 이들의 대출 잔액 중앙값도 1억1498만원으로 전년보다 16.2%나 뛰었다. 대출액별로 보면 1억원 미만 비중은 전년보다 줄어든 반면, 2억원 이상에선 오히려 크게 늘었다. 3억원 이상 대출받은 초혼 신혼부부는 9.7%로, 전년(8.2%)보다 1.5%p 올랐다. 부동산 등 ‘영끌’ 투자에 나선 신혼부부가 많이 증가한 영향으로 풀이된다.

실제로 KB부동산 통계에 따르면 2017년 -1.83%, 2018년 -4.48%, 2019년 -4.45% 등으로 하락세를 보였던 울산지역 아파트값이 2020년 들어 10.34% 상승하더니, 2021년에는 연간 12.28%의 상승률을 기록했다.

이처럼 갑작스럽게 지역 부동산 가격이 급등하자, 신혼살림을 차릴 전셋집마저 구하지 못하는 청춘 남녀는 결혼의 문턱 앞에서 좌절했다.

통계청에 따르면 2017년 기준 울산지역 남녀 평균 초혼연령은 32.4세, 29.9세에서 2020년에는 32.7세, 30.3세로 늘었다.

결혼 필요성에 대한 조사에서도 2017년 기준 남녀가 생각하는 ‘결혼해야 한다’는 비율은 각각 59.7%, 47.6%였지만, 2020년에는 47.1%, 36.3%로 뚝 떨어졌다.

부동산 가격 급등기로 꼽힌 최근 4년간 결혼 연령대는 물론 결혼의 필요성마저 달라진 셈이다.

취업난도 결혼을 미루는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2020년 하반기 지역별 고용조사 맞벌이 가구 및 1인 가구 고용 현황’에 따르면 울산지역 1인 가구의 40% 이상이 미취업 상태였다.

취업 상태인 1인 가구도 3명 중 1명은 월 200만원도 벌지 못하는 저임금 가구로 집계됐다.

주택 마련이 여의치 않고 빚은 늘다 보니, 자녀를 가질 여유가 사라진 것이다. 초혼 신혼부부 2만1990쌍 중 자녀가 없는 부부는 39.3%(8634쌍)로 2019년보다 2.1%p 올랐다. 자녀가 있는 비중(60.7%)은 불과 5년 만에 7.5%p나 빠졌다. 이에 따라 지난해 평균 자녀수(0.74명)도 전년(0.77명)보다 0.03명 감소했다.
 

▲ 울산시 중구지역 아파트단지 전경. 경상일보 자료사진
▲ 울산시 중구지역 아파트단지 전경. 경상일보 자료사진

◇종합·복합적인 인구대책으로 ‘인구절벽’ 탈출해야

한 때 130만명을 바라왔던 울산 인구가 자동차·조선·석유화학 등 주력 산업 침체로 급격히 줄기 시작했다.

국가통계포털의 장래인구추계 자료에 따르면 울산의 인구는 올해 112만명에서 향후 지속적으로 줄어들다가 오는 2030년 110만대로 내려 앉고, 2044년이면 100만대 마저 붕괴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또 울산의 총가구는 2033년 1인 가구 증가로 45만 가구까지 증가한 뒤 점차 감소해 2047년에는 42만 가구로 떨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처럼 저출산·고령화 현상이 지속되면서 2037년이 되면 지역 내 생산연령인구(15~64세) 비중이 지금의 절반 수준으로 떨어질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지역 주력산업의 성장세가 둔화되면서 새로운 일자리를 찾아 울산을 떠나가고 있기 때문이다. 여기에다 주거, 문화환경, 교육 등 열악한 정주여건과 고령화 등도 인구감소 요인으로 꼽힌다.

사회적 요인 못지않게 자연적 인구감소도 심각하다. 2020년 울산시가 발표한 2017~2037년 구·군 단위 장래인구추계에 따르면 울산은 2028년까지 자연증가(출생>사망)를 보이다 2029년부터 자연감소(출생<사망)로 전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로 결혼·출산에 대한 가치관의 변화로 비혼·만혼화 현상이 심화되면서 2020년부터 울산지역 가임 여성 1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추정되는 합계출산율이 1명 이하로 떨어진 만큼 울산도 이제 ‘인구 데스크로스’에 대비해야 할 때다.

상황이 이렇게 되자, 울산시는 올해 특단의 대책을 내놓았다. 출산 가정의 경제적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생애 초기인 영아기에 집중 지원해 출산율을 높인다는 방침이다.

올해부터 태어나는 모든 아이에게 기존 출산 지원금과 별도로 첫만남이용권 200만원을 지급하고, 만 0~1세 영아를 둔 가정에 월 30만원의 영아수당도 준다. 여기에다 월 10만원인 아동수당 지급 대상 연령을 만 7세 미만에서 만 8세 미만으로 확대했다. 첫만남이용권과 영아·아동수당 등 지급을 통해 올해 태어나는 아이 한 명당 연간 690만원에서 최대 780만원을 지원받게 되는데 여기에 소요되는 비용이 무려 965억원(국비포함)에 이른다. 이처럼 지자체 차원에서 인구 감소에 대응하기 위한 출산정책을 내놓고 있지만, 현금성 지원 의존 비중이 높은 만큼 우려의 시각도 적지 않다.

울산연구원 강영훈 박사는 “현금성 지원은 당장에 급한 불을 끄는데 효과는 있겠지만, 장기적으로는 출산과 육아 관련 인프라를 구축하는 등 사회적 환경개선이 이뤄져야 할 것”이라면서 “일자리 등 지역 경기회복, 정주여건 개선, 고령화 대응책 마련 등 종합적이고 복합적인 인구대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석현주기자 hyunju021@ksilbo.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
  • 울산 곳곳 버려진 차량에 예산·행정 낭비
  • 궂은 날씨에도 울산 곳곳 꽃놀이 인파
  • 확 풀린 GB규제…울산 수혜 기대감
  • [송은숙 시인의 월요시담(詩談)]복효근 ‘목련 후기(後記)’
  • [기고]울산의 랜드마크!
  • 이재명 대표에서 달려든 남성, 사복경찰에게 제압당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