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 경기 등 전국적으로 2030세대의 아파트 매입 비중이 크게 늘어난 가운데 울산은 역대 최저 수준으로 급감했다. 아파트값이 단기간에 치솟으면서 부담이 커진데다 지역 청년층의 인구유출까지 가속화된 영향이다.
7일 한국부동산원이 공개한 매입자 연령대별 아파트 매매거래 건수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2030세대(20대 이하 포함)의 울산 아파트 매입 비중은 평균 30.6%로 집계됐다. 이 조사가 시작된 2019년의 35.1%, 2020년 33.4%를 크게 밑도는 수치다.
구군별로는 직주근접형의 도심이나 전셋값이 높고, 집값은 상대적으로 낮은 지역의 매입 비중이 높았다.
젊은층에게 인기가 높은 북구는 2020년 39.2%에 육박했던 2030세대 매입 비중이 지난해 34.9%까지 떨어졌지만, 5개 구·군중 매입 비중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는 2억원 이하 중소형 아파트가 많아 주택담보대출 부담이 적은 데다 전셋값 비중이 높아 갭투자가 용이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청년층 아파트 매입 비중 | |||
지역 | 2019년 | 2020년 | 2021년 |
울산 | 35.1% | 33.4% | 30.6% |
중구 | 37.3% | 31.4% | 28.7% |
남구 | 32.3% | 32.2% | 31.9% |
동구 | 40.9% | 36.0% | 29.9% |
북구 | 37.7% | 39.2% | 34.9% |
울주군 | 31.6% | 29.4% | 25.7% |
2019년까지만 하더라도 동구가 40.9%로 청년층의 아파트 매입 비중이 가장 높았지만, 동구는 지역 주력산업인 조선업 경기 침체 등의 영향으로 2020년 36.0%, 2021년 29.9% 등으로 급격하게 낮아지고 있는 추세다. 남구 역시 31.9%로 청년층 아파트 매입 비중이 높았다. 남구는 2019년 32.3%, 2020년 32.2%, 20201년 31.9% 등 연도별 매입 비중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반면 중구지역의 청년층 아파트 매입 비중은 2019년 37.3%로 남구(32.3%)보다 높았지만, 지난해 28.7%까지 떨어지며 울주군(25.7%)에 이어 가장 낮게 집계됐다. 울주군은 2019년부터 3년 연속 청년층의 아파트 매입 비중이 가장 낮았던 것으로 조사됐다.
반면 전국의 지난해 2030세대의 아파트 매입 비중은 평균 31%로 집계됐다. 이 조사가 시작된 2019년의 28.3%, 2020년 29.2%에 이어 처음으로 30%를 돌파했다.
특히 수도권의 2030세대 매입 비중이 높았다. 서울은 지난해 2030세대의 아파트 매입 비중이 41.7%로 40%를 넘어섰다. 2019년의 31.8%, 2020년의 37.3%를 크게 웃도는 수치다.
이는 울산지역 내 청년층의 인구 유출 가속화가 큰 영향을 끼친 것으로 풀이된다. KOSIS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지난해 울산을 빠져나간 20~30대 인구는 총 6791명으로 상반기에 3724명, 하반기에 3067명씩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청년층의 연간 탈울산 인구를 살펴보면 2019년 5716명에서 지난해 6791명으로 18.8%가 증가했다.
전문가들은 최근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 아파트값 하락세가 시작되면서 2030세대의 피해가 커질 수 있다고 우려한다.
울산공인중개사협회 관계자는 “울산지역 집값은 약보합세로 돌아섰지만, 최근 대출 금리가 가파르게 오르면서 ‘영끌족’의 부담도 커지고 있다. 집값이 당장 급락하진 않겠지만, 무리한 투자는 자제하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
석현주기자 hyunju021@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