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A는 일반 플라스틱 소재보다 생산 과정에서 탄소 저감 효과가 우수하고 높은 가격에 거래되는 친환경 고부가 소재로, 포장재와 의료용 제품, 화장품 용기 등에 사용된다. 인체에 무해할 뿐만 아니라 일반 자연 및 해양에서도 우수한 생분해성을 보유해 최근 플라스틱 폐기물 및 해양 오염 문제 해결을 위한 기술로도 주목받고 있다.
롯데케미칼은 중앙대 윤성호 교수와의 공동연구를 통해 내년까지 PHA 생산기술 확보할 계획이다. 상업화되면 석유화학 원료 기반으로는 세계 최초의 생산 사례가 된다. 현재 PHA는 미생물 원료를 활용해 생산되는데 미생물 배양 후 발효 등의 과정을 거쳐 제조되므로 원료 수급이 어렵고 생산 규모가 작다. 이로 인해 제품가가 비싸 가격경쟁력이 낮다.
석유화학 기반의 제조 공정이 상업화되면 상대적으로 수급이 용이한 화학·바이오매스 원료를 사용해 가격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대규모 제품 양산도 가능해진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롯데케미칼은 울산에 주력생산 공장을 두고 있다.
롯데케미칼 기초소재사업 황진구 대표는 “롯데케미칼의 공정 개발 역량과 윤성호 교수의 기술 노하우를 접목해 PHA 상업 생산을 실현해 내겠다”며 “적극적인 연구 투자를 통해 친환경 소재 확대와 지속가능한 생태계 구축에 힘쓸 것”이라고 말했다.
이형중기자 leehj@ksilbo.co.kr·일부 연합뉴스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