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영향 지방은행까지 몸집줄이기 가세
상태바
코로나 영향 지방은행까지 몸집줄이기 가세
  • 석현주 기자
  • 승인 2022.02.23 00:1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지난해 국내 주요 은행들이 코로나 이후 정규직 직원들을 대폭 줄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중은행은 물론 경남은행과 부산은행 등 지방은행에서도 수백명에 이르는 인원이 사라진 것으로 조사됐다.

22일 기업분석연구소 리더스인덱스가 주요 15개 은행(시중은행·지방은행·인터넷은행·농협은행)의 임직원 현황을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2019년 9월 기준 9만661명이던 정규직 직원은 지난해 9월 8만7159명으로 3502명(3.9%) 감소했다. 같은 기간 임원은 381명에서 397명으로 증가해 정규직 감소와 대조를 보였다.

2019:2021년 은행별 임직원수 변화
은행 임원
증감율
정규직 
증감율
비정규직 
증감율
하나은행 -22.6% -8.8% 25.4%
국민은행 10.8% -5.9% 44.3%
경남은행 -8.7% -5.8% -25.5%
부산은행 0.0% -3.6% -30.0%
농협은행 4.5% -0.4% -2.8%

15개 은행 중 12곳이 정규직 직원을 줄였고, 인터넷은행인 카카오뱅크와 케이뱅크, 지방은행인 광주은행 등 3곳만 정규직 직원을 늘렸다.

정규직 직원이 가장 많이 감소한 은행은 하나은행으로, 해당 기간 1만2755명에서 1만1635명으로 1120명(8.8%) 감소했다. 반면 이 기간에 하나은행 비정규직은 918명에서 1151명으로 25.4% 증가했다.

하나은행은 2015년 9월 하나은행과 외환은행이 통합한 이후 정규직 직원과 임원을 줄여가고 있다고 리더스인덱스는 설명했다.

지방은행 중 정규직 직원이 가장 많이 감소한 은행은 경남은행으로, 해당기간 2413명에서 2273명으로 140명(5.8%) 감소했다. 비정규직 역시 110명에서 82명으로 25.5% 감소했고, 임원의 경우 23명에서 21명으로 8.7% 줄었다. 지방은행들의 정규직 직원은 광주은행을 제외하고 경남은행(-5.8%), 제주은행(-3.8%), 부산은행(-3.6%), 대구은행(-2.6%), 전북은행(-0.5%) 순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농협은행 정규직 직원은 1만3585명에서 1만3524명으로 61명이 줄어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

한편 코로나 영향으로 지점과 ATM기 역시 대폭 축소됐다. 2019년 9월 4871개이던 지점 수는 지난해 9월 4545개로 326개(6.7%) 감소했다. ATM기는 이보다 더 큰 폭인 12.8%(4370개) 줄었다.

석현주기자 hyunju021@ksilbo.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
  • 대형 개발로 울산 해양관광 재도약 모색
  • [기자수첩]폭염 속 무너지는 질서…여름철 도시의 민낯
  • [송은숙 시인의 월요시담(詩談)]류인채 ‘이끼의 시간’
  • [울산의 小공원 산책하기](3)겉과 속은 달라-애니원공원
  • 장생포 수국 절정…한여름의 꽃길
  • 울산 첫 수소연료전지발전소 상업운전 시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