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일 기획재정부 등에 따르면 정부는 우크라이나 사태가 국내 기업의 수출과 에너지·원자재·곡물 수급, 금융시장에 미치는 파장을 예의주시하면서 피해 최소화를 위한 대응에 나섰다. 전문가들은 원유를 비롯한 에너지·원자재 가격 상승이 기업들의 비용 부담을 키우고 그렇지 않아도 상승세인 소비자물가를 더욱 밀어 올릴 수 있다고 지적한다. 국제 유가는 차량 운행을 위한 휘발유·경유 비용뿐 아니라 석유류, 가공식품 등 제조업 상품 전반의 가격에도 영향을 미친다. 미국이 러시아산 원유 거래는 제재하지 않겠다는 방침을 밝혔지만, 러시아에 대한 고강도 경제 제재는 결과적으로 국제 원유의 공급 부족을 심화시킬 수 있다.
정부는 올해 국제 유가가 두바이유 기준으로 연평균 배럴당 73달러 수준이라는 전망을 토대로 연간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2.2%로 예상한 바 있다. 하지만 두바이유 현물 가격은 지난 24일 기준 98.64달러까지 치솟았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해 10월부터 올해 1월까지 넉 달째 3%대 상승률을 기록했는데, 국제 유가 상승세가 지속되면 월별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4%를 돌파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국제사회가 러시아에 대한 수출 제재에 나서는 것도 우리 경제에 부정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관측된다.
우선 미국이 반도체 등 첨단기술 제품의 러시아 수출을 통제하는 포괄적제재 방안을 발표해 국내 반도체·자동차 기업도 직접 영향권에 들게 됐다. 우리나라는 대러 수출 비중이 크지 않은 편이지만, 세계 각국이 수출 제재에 동참하면 세계적으로 교역이 위축되고 경기 성장세가 둔화할 수 있다는 점이 더 큰 문제다. 수입 물가가 크게 오르는 와중에 수출이 둔화하면 무역 적자가 지속될 우려도 있다. 이형중기자·일부 연합뉴스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