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코로나19발 경기침체에 대응한 2년간의 ‘제로(0) 기준금리’ 정책에 종지부를 찍음으로써 통화긴축 정책으로 확연히 돌아섰다.
유럽중앙은행(ECB)도 연내 기준금리 인상에 나설 것으로 예상돼 사실상 ‘이지 머니’(자금 조달이 쉬운 상태) 시대가 끝났다.
연준은 15~16일 통화정책 회의를 마친 후 현재 0.00~0.25%인 기준금리를 0.25~0.50%로 0.25%p 인상한다고 밝혔다. 2020년 3월부터 2년간 유지한 제로 금리 정책의 종료를 선언한 셈이다. 특히 연준은 점도표(dot plot)를 통해 기준금리가 올해 말에는 1.9%, 내년 말에는 2.8%가 될 것으로 예상했다.
점도표는 연준 위원들 각자의 향후 기준금리 전망치를 한데 모아 둔 표이다. 올해 말 기준금리가 1.9%가 된다는 것은 올해 남은 6번의 FOMC 회의 때 매번 0.25%p 인상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연내 7회 인상으로, 금융시장 이코노미스트들의 전망 가운데 가장 매파적(통화긴축 선호)인 입장에 해당한다. 여기에 더해 내년 말 기준금리가 2.8%로 오르려면 금리 인상이 3~4회 더 있어야 한다.
결론적으로 2년간 10~11회 인상한다는 것으로, 연준이 상당히 공격적으로 유동성 조이기에 들어간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형중기자·일부연합뉴스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