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충인 꿀벌응애 및 꿀벌의 천적 말벌류에 의한 폐사와 이상기후 요인이 복합적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농림축산식품부는 7일 올해 겨울 폐사한 꿀벌이 약 78억 마리에 이른다고 7일 밝혔다. 다만 꿀벌 폐사에 따른 벌꿀 수급과 작물 꽃가루받이(수분) 피해는 제한적일 것으로 봤다. 농식품부에 따르면 올겨울 꿀벌 폐사로 현재 양봉용 꿀벌 사육 마릿수는 평균 255만 봉군(1봉군은 약 2억 마리)보다 6% 감소한 약 240만 봉군으로 추정된다. 현재 봉군당 평균 벌꿀 생산량이 5.5㎏ 수준으로 생산능력(13.7㎏) 대비 크게 적은 편이다. 하지만 폐사한 봉군의 벌꿀 생산 역량은 인근에 있는 다른 봉군들이 대체할 수 있어 이번 꿀벌 폐사가 벌꿀 공급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을 전망이다.
실제로 꿀벌 사육 마릿수가 153만 봉군으로 가장 적었던 2011년에도 벌꿀이 평년(1만4000t)보다 많은 2만t가량 생산됐다. 또 벼, 밀, 보리 등 수요가 큰 곡물은 가루받이하는 곤충이 없어도 자가 수정할 수 있으며, 사과와 배 등은 꽃가루 분사기를 활용해 인공 수정할 수 있으므로 꿀벌 피해가 작물 재배에 미치는 영향도 적을 것으로 관측된다.
농식품부는 다만 꿀벌 폐사 피해를 입은 양봉농가를 위해 농가당 1000만원 한도의 농축산경영자금을 연 2.5%의 고정금리로 융자 지원할 방침이다.
또 추가 피해를 막기 위해 꿀벌응애류, 꿀벌낭충봉아부패병, 꿀벌노제마병 방제용 약품을 신속히 지원한다. 양봉업계에서 지원을 요청하고 있는 벌 구매자금은 지자체가 마련할 수 있도록 유도할 예정이다.
이날 울산에서는 울주군 범서농협(조합장 김숙희)이 지역 최초로 단감 작목반을 대상으로 수정용 벌 45군(1군은 약 3~4만 마리)을 지원했다.
과실수 꽃을 수정시킬 수 있는 꿀벌의 개체수가 부족해 제대로 수정이 이뤄지지 않을 경우 썩거나 기형인 작물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범서농협은 농가의 피해가 커질 것을 염려해 개화기에 맞춰 긴급 지원에 나섰다.
김숙희 조합장은 “수정용 벌 지원 사업은 지역 최초로 추진되는 사업이다. 이상기온 등 기상이변에 대한 선제적인 대처로 농가의 경쟁력을 높이고, 고품질 작물 생산을 통해 실질적인 농업소득 증대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석현주기자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