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 정부의 부동산 규제완화 기대감에도 불구하고, 거래절벽 장기화에다 집값 상승세가 주춤하면서 청약 시장에서도 ‘옥석 고르기’ 현상이 심화되는 양상이다. ‘청약 불패’ 시장을 수년간 이어왔던 울산에서도 최근 들어 경쟁률 하락이 눈에 띄는 등 찬바람이 불고 있다.
18일 지역 부동산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말 분양을 시행한 울주군의 A 아파트는 전체 967세대 중 250세대가 미달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 아파트의 청약률은 1~2차를 합쳐 74%에 그쳤다. 그런데 실제 계약이 어느 정도 이뤄졌는지 알려주는 울산지역 미분양 통계에서는 올 들어 석 달째 수치가 그대로다.
이날 울산시 홈페이지에 공개된 미분양 주택 현황 보고에는 1월과 2월, 3월 모두 395세대로 동일한 것으로 집계됐다.
사업자가 미분양 수치를 공개하지 않아도 법적으로 강제할 수 없는 만큼 지자체도 난감한 입장이다.
시 관계자는 “잔여 물량을 계약하고 있는 중으로 알고 있다. 해당 사업장 사정들로 인해 신고가 미뤄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반면 올해 대단지 분양이 잇따랐던 대구, 충북 등 지역의 미분양은 울산보다 더 심각한 수준이지만, 모두 미분양 집계에 포함됐다.
국토부 통계에 따르면 지난 2월 기준 전국의 미분양 물량은 지난해 말 대비 42% 증가했다. 대구 130%, 충북 189% 등 지방 도시를 중심으로 미분양 물량이 폭등한 것이다.
울주군 A 아파트 미분양 물량이 통계에 반영됐다면 울산도 60%가량 증가하게 된다.
지역 부동산업계 관계자는 “미분양과 실제 계약률은 소비자들이 주택을 구매할 때 결정적 요소가 될 수 있는 만큼 자발적으로 공개해줘야 한다”고 지적했다. 또 그는 “올해 새 정부 출범과 함께 부동산 시장의 분위기가 변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전년 대비 많은 양의 공급과 수요를 바탕으로 큰 장이 열릴 것으로 전망된다. 그러나 향후 공급이 많은 만큼 그 중 옥석을 가려내는 판단이 중요한 시기”라고 조언했다. 석현주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