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앞두고, 지자체장 후보별로 각종 개발추진 등 부동산 공약이 봇물 터지듯 쏟아지고 있다. 정권교체로 인한 부동산 규제 완화에 대한 기대감도 높아졌다. 하지만 그동안 울산의 경우 지방선거가 있었던 해의 집값 변동 폭이 평소보다 작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22일 KB국민은행 통계에 따르면 1991년 지방의회가 구성되고 1995년 첫 번째 민선 자치단체장 선거가 있었던 해부터 2018년 제7회 지방선거까지(1995년, 1998년, 2002년, 2006년, 2010년, 2014년, 2018년) 7번의 지방선거 시기 아파트값 변동률은 3.96%로 집계됐다. KB국민은행이 통계를 작성한 1986년부터 지난해까지 36년간 연평균(4.79%)보다 낮은 수준이다.
3회 지방선거가 있던 2002년(22.3%)과 4회 지방선거가 치러졌던 2006년(14.7%) 폭등했던 게 평균을 끌어올렸다. 2002년은 올해처럼 대통령 선거와 지방선거가 같이 있었던 시기로 2001년 IMF 외환위기에서 벗어나면서 경제 회복 기대감이 컸다. 희망찬 개발 공약이 많았고 집값이 들썩였다. 2006년에도 온갖 개발 호재가 넘쳐나면서 부동산 거품이 정점에 달했던 시기다.
이처럼 2006년 선거까지는 울산 집값이 후보들의 공약에 크게 휘둘렸으나, 그 이후로는 상승폭을 좁혀갔다. 2002년에는 22.3%까지 치솟았으나, 이후 2006년(14.7%), 2010년(4.1%), 2014년(3.3%), 2018년(-4.5%) 등으로 오름폭이 줄어든 것이다. 특히 2010년 이후에는 전체 기간 연평균 보다 낮은 수준을 보이며 안정적인 변동률을 기록했다. 가장 최근인 2018년엔 오히려 마이너스 변동률을 기록하기도 했다.
반면 수도권은 지방선거가 있었던 해 아파트값이 모든 기간의 연평균 변동률보다 많이 올랐다.
세부적으로 서울은 지방선거가 있었던 해에는 평균 8.5% 뛰었다. 이는 서울의 전체 기간 평균 상승률(6.73%)보다 큰 오름폭이다. 3회 지방선거가 있던 2002년과 4회 지방선더가 치러졌던 2006년 연간 20~30%씩 폭등했던 게 평균을 끌어올렸다.
경기도도 비슷했다. 경기도의 경우 KB국민은행이 2004년부터 통계를 작성했다. 지방선거가 있었던 2006년(28.44%), 2010년(-3.43%), 2014년(2.16%), 2018년(4.81%) 연평균 아파트값 상승폭은 7.74%였던 것으로 집계됐다. 경기도에도 온갖 개발 호재가 넘쳐나던 2006년 급등했던 게 지방선거 시기 연평균을 끌어 올렸다. 서울처럼 지방선거 시기 아파트값 오름폭이 2004년부터 2021년까지 18년간 연평균 변동률(4.81%)보다 높다.
울산지역 부동산업계 관계자는 “지방선거 공약 효과로 한두 달 잠시 들썩이다가 가라앉을 수 있다. 하지만 집값은 주택수급 여건이나 지역 경기에 더 큰 영향을 받기 때문에 공약 효과는 일시적 현상으로 봐야 한다”고 말했다.
다만 그는 “대선 이후 부동산 규제 완화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면서 매수·매도 문의는 늘고 있는 추세”라고 설명했다. 석현주기자 hyunju021@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