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달 ‘2022년 하반기 울산시청 전입시험’을 두고 구·군 일부 간부 공무원들이 불만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 일부 구·군에서는 “구·군이 인력 양성소냐?”며 시험 신청 명단 제출 마지막 날까지 눈치 싸움을 펼쳤던 것으로 알려졌다.
울산시는 오는 27일 2022년 하반기 울산시청 전입시험이 실시되며 시험은 보고서 작성 형태로 진행된다고 17일 밝혔다. 이번 시험에서는 행정 7·8급, 세무·사회복지 8급 등의 분야에서 총 20~30명 정도 선발할 예정인데 5개 구·군에서는 총 160명의 공무원이 지원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2018년 하반기부터 시작된 시험은 7급 이하 자치구 공무원을 대상으로 매년 상·하반기 전입시험을 시행해 성적이 우수한 공무원을 뽑아 퇴직이나 휴직, 조직개편 등 시에 발생한 결원을 충원하는 형태다.
현재 인사 교류 시스템을 채택하고 있는 서울시와 세종시를 제외한 타 지자체에서는 전입시험 제도를 운영 중이다.
이에 업무 숙련자를 보낼 처지에 놓이게 된 일부 구군에서는 간부공무원을 중심으로 업무 공백 초래를 우려하며 불편한 속내를 내비치고 있다. 공정하게 시험을 쳐 인원을 선발하는 제도에 대해서는 공감하면서도 “실컷 교육을 시켜놓으면 뺏어간다” “우리가 인력 양성소냐” 등의 분위기가 읽혀진다.
특히 이번에는 일부 구군에서 “아예 명단을 위로 올리지 말자”라는 말까지 나오며 눈치싸움을 펼치다 명단 제출 마지막 날인 지난주 금요일이 돼서야 시에 제출하는 사례도 있었다.
구군 관계자는 “각 구군에서 실무를 담당하는 7·8급 공무원들이 대거 이탈 시 이를 대체하는 건 신규 임용자들이라 업무의 효율성이 떨어진다”라고 주장했다.
이에 울산시 관계자는 “젊은 공무원들은 누구나 시청에서 근무를 하고 싶지 않겠냐”라며 “시청에 오고 싶어 하는 본인들의 선택을 막을 수는 없는 노릇이고 전입시험은 과거에 실시했던 추천제보다 투명하게 진행돼 만족도가 높은 편이라는 이야기가 나오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실제로 각 구군에서 뽑히는 인원은 3~4명 정도로 예상한다. 게다가 구군별로 현원 비율이 있기 때문에 결원이 발생하는 것에 대해 충분히 예측 가능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박재권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