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원자잿값과 금리 인상 등 여파로 공사비가 크게 오른 상황에서 기존 계획대로 건립했을 시에 막대한 적자가 불보듯 뻔하기 때문이다.
20일 울산시에 따르면, 시는 옥동 옛 울주군청사 부지 1만754㎡에 청년과 신혼부부 등을 위한 행복주택 160가구를 비롯해 공영주차장과 도서관 등 공공시설, 상가를 포함한 근린생활시설 등이 들어서는 복합건물을 조성하는 사업을 정부 공모 등을 거쳐 지난 2020년 사업계획을 확정했다.
건물은 지하 3층~지상 21층, 전체 면적 4만5280㎡ 규모다. 총사업비는 1096억원으로 추산됐다. 시는 당초 올 하반기에 공사에 들어갈 예정이었으나, 내년으로 착공 시기를 연기했다.
울산도시공사가 ‘건축 원자재 가격 상승과 금리 인상 등 여파로 총사업비가 200억원 이상 늘어나 설계 재검토가 필요하다’는 의견을 시에 전했기 때문이다. 여기에 현재 부동산 경기를 고려하면 상가 임대분양도 저조할 것으로 분석됐다.
애초 예측된 임대 수입은 186억원 규모였으나, 최근 일대 상가 임대 시세와 공실률 등을 고려하면 수익이 20억원 수준에 그치는 것으로 조사된 것이다. 결국 공사비 상승분에다 예상 수익 급감 등으로 시의 재원 부담은 수백억원대로 불어날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이에 시는 공사비를 절감하는 동시에 임대 수입 감소 여파를 방지하고자, 상가를 비롯한 부대시설을 축소하는 방향으로 설계 변경을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 관계자는 “건설비용 등 사업비가 크게 오른 상황에서 기존 계획대로 사업을 추진한다면 적자가 불보듯 뻔하다”며 “기존 임대주택 세대수 등은 유지하더라도 상가와 부대시설을 축소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이와 함께 국비를 추가적으로 확보하는 방안도 구상중이다”라고 덧붙였다.
김두겸 시장은 이에 더해 전면 재검토 수준까지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복합건물 계획 당시와 비교해 현재 옥동 주변 여건이나 경제적 여건이 달라진 상황에서 이런 점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복합건물 계획을 일부 수정할지, 사업 방향을 전환할지 등을 원점에서 검토해 최적의 방안을 찾겠다는 것이다.
이재곤 시 건축주택과장은 “공사비가 늘어나고 있고 이에 따라 사업성이 떨어지고 있어 일부 사업 수정은 불가피하다”면서 “다만 복합건물이라는 기본 틀은 유지하며, 이 같은 사업계획 변경안이 확정되면 착공 시기도 결정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차형석기자 stevecha@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