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물연대 파업’ 업무개시명령]경영계 “국가경제 위기, 불가피한 조치”
상태바
[‘화물연대 파업’ 업무개시명령]경영계 “국가경제 위기, 불가피한 조치”
  • 석현주 기자
  • 승인 2022.11.30 00:1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경영계는 29일 정부가 민주노총 화물연대 총파업에 참여한 시멘트 운수종사자에 대한 업무개시명령을 발동한 것에 대해 “불가피한 조치”라며 화물연대가 조속히 운송 업무에 복귀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한국경영자총협회(경총)는 이날 입장을 내고 “화물연대의 집단운송거부로 산업 현장의 피해가 크게 확산하고 있다”며 “정부가 국가 경제의 심각한 위기를 막기 위해 시멘트 분야 업무개시명령을 발동한 것은 다행”이라고 밝혔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정부의 업무개시명령은 위기상황에 대응하기 위한 불가피한 조치”라며 “실효성도 입증이 되지 않은 안전운임제를 정부가 3년간 연장하겠다는데도 집단운송거부를 이어가는 것은 명분이 미약하다”고 강조했다. 또 “모든 경제주체가 위기극복에 힘을 모아야 할 때다. 지금이라도 집단운송거부를 중단하고 합리적인 대화와 타협에 나서기를 바란다”고 덧붙였다.

업무개시명령과 경영계의 복귀 촉구에도 산업계의 피해가 커질 것이란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업무개시명령이 떨어지면 화물차 기사는 업무에 즉각 복귀해야 하지만, 시멘트 분야에 한정적으로 적용됐기 때문이다.

다만 업무개시명령 발동이 시멘트 운수종사자들에게 적용되며 국내 수출을 책임지는 반도체나 완성차 업체들의 부담은 여전할 것으로 보인다.

현대차 울산공장은 완성차 수송을 맡고 있는 ‘카캐리어’ 기사들이 파업에 동참하면서 완성차를 직접 운전해 출하장까지 옮기는 ‘로드 탁송’을 실시하고 있다. 지난 24일 이후 하루 평균 1000여대를 로드 탁송으로 공급하고 있으며, 현대차직원과 운송업체인 현대글로비스 직원 등 수백명이 차량 운송에 동원되고 있다.

조선업계 역시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현대중공업 관계자는 “파업으로 자재 운송에 일부 지연이 있으나, 생산에 차질이 발생하고 있는 상황은 아니다”고 밝혔다. 석현주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
  • 대형 개발로 울산 해양관광 재도약 모색
  • [기자수첩]폭염 속 무너지는 질서…여름철 도시의 민낯
  • [울산의 小공원 산책하기](3)겉과 속은 달라-애니원공원
  • 아마존·SK, 7조규모 AI데이터센터 울산에
  • 장생포 수국 절정…한여름의 꽃길
  • 울산 첫 수소연료전지발전소 상업운전 시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