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일 한국경영자총협회(경총)가 전국의 30인 이상 기업 240개사를 대상으로 ‘2023년 기업 경영전망 조사’한 결과, 내년 경영계획의 최종안을 확정했거나 초안을 수립한 기업 비율은 54.2%였다. 45.8%는 초안도 수립하지 못했다고 답했다.
경영계획 수립을 완료했거나 초안을 짠 기업에 내년 경영계획 기조를 묻자 90.8%가 ‘현상 유지’(68.5%) 또는 ‘긴축경영’(22.3%)을 하겠다고 말했다. ‘확대 경영이라는 응답은 9.2%에 불과했다.
긴축경영을 택한 기업 중 가장 많은 72.4%는 구체적인 시행계획으로 ‘전사적 원가 절감’을 택했다. ‘유동성 확보’(31.0%), ‘인력 운용 합리화’(31.0%)도 뒤를 이었다. 경영계획을 수립하거나 초안을 만든 기업을 대상으로 내년 투자 계획을 조사하자 ‘올해 수준’이라는 응답이 66.9%로 가장 많이 나왔다. 올해 대비 투자를 확대하겠다는 기업 비율은 15.4%에 그쳤다.
채용계획도 ‘올해 수준’이라는 응답이 61.5%로 가장 많았다. ‘채용 확대’와 ‘채용 축소’ 응답 비율은 각각 24.6%, 13.8%였다.
응답 기업 74.2%는 우리나라 경제가 정상궤도로 회복되는 시점을 2024년 이후로 내다봤다.
내년부터 정상화할 것이라는 응답 비율은 25.8%였다. 기업들이 전망한 내년 경제성장률은 평균 1.6%였고, 구간별로는 성장률이 2.0% 미만일 것이란 응답 비율이 90.8%에 달했다. 현재 자금 상황을 묻는 말에는 응답 기업의 43.0%가 어렵다고 답했다.
석현주기자 hyunju021@ksilbo.co.kr·일부 연합뉴스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