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9일 민주당 등 야권에 따르면 수원지검 성남지청은 이날 “지난 27일 오후 2시경 변호인이 검찰에 연락해 검찰에 출석을 요구한 12월28일 출석은 어렵다고 공식적으로 답변을 해왔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검찰은 이에 그 다음 주 출석을 제안하였으나 변호인은 당 대표로서 신년 행사 등 일정이 모두 잡혀 있어 1월 첫째 주는 도저히 출석이 불가능하다고 답하면서 1월 둘째 주에는 닷새 모두 가능하다고 답변했다”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이어 “출석일을 최초 요구일보다 2주 연기하는 것으로 하고 1월10~12일 중 가능한 날을 알려달라고 요청했고, 현재 그 답변을 기다리고 있는 중”이라고 전했다.
민주당은 전날 ‘노웅래 체포동의안 부결’을 기폭제로 삼아 검찰을 향한 공세 수위를 바짝 끌어올렸다. 체포동의안 부결로 ‘검찰의 야당 탄압’에 맞선 민주당의 단일대오 전열을 재확인했다고 자평하면서 대대적 역공에 나선 것이다.
당장 민주당은 이날 국회에서 검찰개혁 제도 마련을 위한 토론회를 열고 불공정 수사 관행을 거세게 비판했다.
검찰 소환 조사를 앞둔 이재명 대표도 토론회에 참석했다.
이 대표는 인사말에서 “윤석열 정부의 검찰은 민주주의 파괴의 도구로 전락했다”며 “야당의 정적을 향해선 없는 사실도 조작해서 보복의 칼날을 세우고 있다”고 비난했다.
당 검찰독재 정치탄압대책위원회도 입장문을 내고 “검찰의 피의사실 공표 사례를 점검해 서울중앙지검, 수원지검, 성남지청 검사와 수사관을 ‘공무상 비밀누설죄’로 고발하는 것을 검토하겠다”고 경고했다.
민주당은 전날 국회 본회의장에서 체포동의안 가결을 요청한 한동훈 법무부 장관에게도 맹폭을 가했다. 과거 법무부 장관들이 단순히 체포동의안 요청 경위를 설명한 반면 한 장관은 노 의원의 피의사실을 공표하며 가결을 압박했다는 비판이다.
박찬대 최고위원은 라디오 인터뷰에서 “한 장관은 검찰이 노 의원에게 한 번도 물어보지 않았던 물증과 관련된 이야기를 마구 꺼냈다. 일종의 언론플레이였다. 한 장관이 오히려 법을 위반한 것 아닌가 하는 의심이 든다”고 지적했다.
직전 법무부 장관인 박범계 의원은 페이스북에서 “한동훈의 어제 설명 중 ‘특수 검사로서의 경험, 확실, 상식’ 등과 같은 표현과 제스처는 체포안 취지 설명을 한참 넘는 것”이라고 했다.
최근 민주당에 복당한 박지원 전 국가정보원장도 라디오에서 “한 장관이 낱낱이 피의사실을 공표했다. 그렇게 자신이 있으면 노 의원을 불구속기소하라”고 했다.
한편, 특별사면으로 출소한 김경수 전 경남지사의 향후 당내 역할론에 관심이 쏠리는 가운데 이 대표는 출소 당일 김 전 지사와 통화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두수기자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