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에 울산에서 선정된 곳은 울산박물관, 울산암각화박물관, 울산대곡박물관, 장생포고래박물관, 울주민속박물관, 울산옹기박물관 등 6곳이다.
문체부는 지난해 9월부터 12월까지 서면과 현장 평가를 진행하고 5개 범주를 지표로 평가인증심사위원회 심의를 진행했다.
심사위원회는 기존 평가인증과 달리 절대평가 기준(100점 만점에 70점 이상)을 적용했으며 최종 140곳을 선정해 인증률은 52.4%로 집계됐다.
인증기관의 5개 범주별 평균 달성도를 보면 ‘설립 목적의 달성도’는 88%, ‘조직·인력·시설 및 재정 관리의 적정성’은 77%를 나타냈다. ‘자료의 수집 및 관리의 충실성’은 81.5%, ‘전시 개최 및 교육 프로그램 실시 실적’은 82.2%, ‘공적 책임’은 73.3%였다.
상대적으로 낮은 달성도를 보인 ‘조직·인력·시설 및 재정 관리의 적정성’ 범주에선 ‘박물관장 전문성’(68.5%), ‘효과적인 재정 관리’(59.5%) 지표가 낮게 평가돼 박물관장 인선, 재정 상황에 대한 지방자치단체의 관심과 지원이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전상헌기자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