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일 시에 따르면 시는 지난해부터 시는 그린 에너지 화재·폭발에 특화된 센터를 중구에 조성, 혁신도시 이전 공공기관과 연대해 일대를 재난안전 관리 클러스터로 육성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시는 관내에 석유화학단지와 조선업체 등 폭발·산재 다발 사업장이 위치한 만큼 재난안전산업 진흥센터가 반드시 필요하다는 입장을 행안부에 내세웠다. 또 시는 지난해 11월 전국 최초로 울산 재난안전산업지원센터를 개소해 운영하고 있는 점도 어필했다.
하지만 시는 지난달 말 행안부로부터 공모 선정에서 탈락됐다는 소식을 전달받았다.
시는 이번 공모 사업에 전국에서 7개의 지자체가 지원해 경쟁이 치열했고, 외부 평가 위원들이 울산보다 더 우선 지역이 있다고 판단한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행정안전부는 “물론 울산도 우수했지만 상대 평가로 진행되다 보니 더 낫다고 판단된 타 지자체에 밀린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공모에 선정돼 재난안전산업 진흥센터 조성이 추진되는 곳은 전북 지역이다.
전북은 지난해부터 유관기관과 대응 전략을 논의하는 등 발 빠른 대처를 해왔기에 선정된 게 아니냐는 분석이 나온다.
시는 울산테크노파크는 물론 중구 혁신도시로 이전한 국립재난안전연구원과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등 공공기관과 연계해 센터를 유치하고, 총 사업 기간 5년에 사업비를 180억(국·시비 90억씩)으로 잡고 단계별로 기반 조성 및 핵심 인프라 구축하고자 했으나 공모 탈락으로 무산됐다.
현재 행안부에서 이의 신청을 받고 있지만, 시는 일단 이의 신청하지 않기로 했다.
시 관계자는 “공모 탈락 사유에 대해 면밀한 분석을 진행하고 미비점을 보완해 내년에 재도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박재권기자 jaekwon@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