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는 ‘제2차 택시운송 사업 발전 시행계획 수립 용역’을 추진한다고 18일 밝혔다. 시는 시민 교통 편의 증진 및 택시운송 사업의 체계적 육성·지원을 위한 정책 목표와 방향을 설정하기 위해 용역에 나선다.
현재 울산에서 운행 중인 택시는 5680대 가량이다. 택시 총량제를 통해 5%를 초과하는 수준을 유지하고 있어 초과율이 30~40%인 타 시도보다는 경쟁이 덜한 편으로 시는 분석하고 있다.
그러나 지난해 11월22일 택시 부제가 전면 해제됐고, 이어 올해부터 요금 인상이 겹치면서 택시업계의 수익성 악화에 따른 경쟁력 저하가 우려된다는 지적이 잇따르고 있다.
일각에서는 택시의 심야 부제 해제는 필요하지만 전면 해제는 불필요하다는 이야기까지 나오는 실정이다. 택시는 대중교통에서 제외돼 지자체의 예산 지원이 없는 반면 요금 등을 통해 통제만 한다는 불만도 제기되고 있다.
이에 시는 용역을 통해 택시업계의 중장기 발전 방안을 마련하고, 택시 부제 전면 해제 등 국토교통부 택시 정책 변경과 관련된 의견도 수렴한다는 방침이다.
시는 용역에서 교통안전 강화를 위해 고령 택시 운전자의 안전 관리 방안을 모색한다. 고령인 개인택시 운전자들의 은퇴를 유도하는 출구 지원 방안도 찾는다.
특히 택시 총량 관리 체계 개선과 관련, 울산의 특수성을 고려한 한정 면허 부여 방안을 타진한다. 개인택시의 신규 면허 발급이 중단된 지 10여년이 지난 가운데, 적정한 규모의 운행대수가 확보된다면 양도·양수가 불가한 개인택시 면허 발급 여부를 검토한다는 의미다.
친환경 택시 보급 활성화 방안도 찾는다. 울산에 보급된 친환경 전기택시는 600대 가량으로 추산되는데, 시는 환경 부서 및 유관기관 등과 연계해 운행 연한이 지난 내연기관 차량의 전기차 전환을 유도하는 방안을 모색하기로 했다.
울산시 관계자는 “요금 인상 후 올해 3월까지의 데이터를 분석해 지역 택시업계 경영 현황을 살피는 중”이라며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해 국토부 택시 정책에 따른 시행 계획을 수립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춘봉기자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