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일 시에 따르면, 정부는 최근 ‘2050 탄소 중립과 녹색성장 실현을 위한 국가 전략 및 제1차 국가 기본계획’을 의결하고, 국가 온실가스 주요 감축 수단인 CCUS 산업 활성화 및 기술 혁신 방안을 논의했다.
정부는 8개 정부 출연 연구원과 5개 민간 기업이 합동으로 참여한 가운데, 국가 감축 목표 달성에 기여하고 수출 산업화 및 경쟁력 제고를 위해 5대 추진 방안을 마련했다. 5대 추진 방안의 핵심은 대규모 통합 실증 추진이다. 정부는 대규모 통합 실증을 기반으로 기술력을 확보한 뒤 국내·외 저장소를 추가 확보하고, CCUS 토털 서비스를 플랫폼화 해 해외 시장을 공략한다는 계획이다.
정부의 대규모 통합 실증 추진에 따라 울산에서 진행되는 동해가스전 CCUS 실증 사업의 규모도 확대된다. 당초 정부는 가스 채굴 후 빈 공간으로 남아 있는 동해가스전에 연간 40만t씩 30년간 이산화탄소를 주입해 총 1200만t을 저장한다는 계획이었다. 그러나 정부는 통합 실증 사업의 규모를 확대해 안전성 확보를 전제로 연간 주입량을 100만t으로 크게 늘리기로 했다.
동해가스전에 주입하는 이산화탄소의 총량은 동일하지만 연간 주입량이 늘면서 사업 내용에도 변화가 생겼다.
우선 동해가스전 CCUS 실증 사업의 투자 금액이 크게 늘어난다. 연간 40만t의 이산화탄소 저장을 감안한 설비·이송·저장 관련 투자비가 연간 100만t 규모로 늘면서 실증 투자 금액도 덩달아 증가하게 됐다.
정부는 동해가스전 CCUS 실증 사업과 관련해 인프라 구축 및 실증 등에 9000억원에서 1조원 사이의 사업비가 필요할 것으로 예상했다. 그러나 사업이 확대되면서 사업비는 조 단위를 훌쩍 넘길 전망이다.
실제로 조 단위가 넘어가는 예비 타당성 조사 사업은 예타 대상 사업 선정 신청 전에 사전 승인을 받는데, 동해가스전 CCUS 사업은 이미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사전 승인을 통과했다. 관건은 경제성 제고다. B/C(비용 대비 편익)와 관련해 편익인 저장 총량은 동일하지만 비용인 사업비가 늘어나면서 경제성이 다소 저하되기 때문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민간 투자 금액을 늘리는 등 예타 대상 선정 및 통과를 위해 막바지 작업을 진행 중이다. 오는 5월 중 예타 대비 용역 1차 보고서가 나올 경우 빠르면 6월 중으로 예타 대상 사업 선정을 신청한다는 방침이다.
한편 정부의 CCUS 사업 확대 방침은 울산에도 긍정적인 효과를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실증 사업에 투입되는 금액이 늘어날 뿐만 아니라 선도 기술력을 확보한 뒤 국내 및 해외 시장 진출에 이를 활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울산시는 사업에 CCUS 진흥센터를 울산에 설립하는 방안까지 포함시킬 경우 CCUS 선도 도시로 도약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춘봉기자 bong@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