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울산대학교는 환경전문기업 (주)티이씨, (주)메가이앤씨와 환경부가 지원하는 2023년도 ‘사업장 미세먼지 지능형 최적 저감/관리 기술개발사업’에 선정돼 ‘모듈형 이동식 VOCs 처리 시스템 개발’ 과제를 수행한다고 3일 밝혔다.
(주)티이씨는 초저온 응축방식으로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회수해 사용하는 대기환경설비(C-VRU)를 국내 최초로 개발해 상용화에 성공한 기업이다. 이번 과제 수행에서 티이씨는 처리설비를 설계·제작한다.
메가이앤씨는 설비에 AI(인공지능)/IoT(사물인터넷) 기술을 적용하고, 울산대는 최적 활성탄/센싱 기술을 제공하는 역할을 각각 맡았다.
이와 함께 SK에너지, 보팍 탱크터미널, 카프로, 효성화학 등 국내 주요 정유·석유화학 기업들도 현장 실증 지원과 수요 기업으로 참여함으로써 실제 산업현장에서 활용 가능한 지능형 이동식 VOCs 처리설비가 개발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이 과제는 이달부터 향후 3년 동안 정부 지원금 30억원과 민간부담 10억원 등 모두 40억원이 투자돼 50CMM(분당 흡입&토출 공기량)급 모듈형 이동식 VOCs 처리 시스템을 개발하는 것으로 진행된다.
현재 석유화학산업 분야와 상업용 탱크터미널 보수와 각 업체의 대기환경설비 고장 때 처리설비가 없어서 VOCs가 무방비 상태로 대기에 방출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병규 울산대 교수는 “이번 과제는 미세먼지와 악취의 원인이 되는 VOCs를 현저히 저감하는 기술 개발이어서 우리나라 대기환경 개선 차원에서 매우 중요하다”고 소개했다.
차형석기자 stevecha@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