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문예회관은 심의위원회를 거쳐 이달 초 하반기 대관 심의 결과를 발표했다. 공연장은 울산시립예술단 등 자체 일정을 제외하고 대공연장은 45일, 소공연장은 57일 중 신청을 받았고, 전시장의 경우 정기 점검과 자체 기획전시 이외의 기간을 대상으로 대관 신청을 진행했다. 그 결과 공연 97건, 전시 85건 등 182건이 신청됐는데 이 중 공연 41건, 전시 37건 등 78건이 가결됐다. 공연 56건, 전시 48건 등 신청 건수의 절반이 넘는 104건은 부결됐다.
울산문예회관은 심의 총평에서 심의 기본 방향 및 경합의 우선 사항 기준에 따라 공정하게 선정했다고 밝혔다.
하지만 본보 취재를 종합해 보면 개인보다는 단체의 비중이 높고, 단체의 경우에도 신생 또는 소규모보다는 연혁이 길거나 회원 수가 많은 곳이 주를 이루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울산시의 문예기금을 받는 단체나 개인에 우선 배정됐다.
실제로 울산문예회관은 내부 방침으로 ‘대관 심의 기본방향 및 경합 시 우선사항’을 두고 있다. 대관시 개인보다는 기관이나 단체에, 사비를 들인 전시나 공연보다는 시의 문예진흥기금을 받는 행사에 대관을 우선한다. 이 때문에 지역의 젊은 예술인들이 모인 신생예술단체나 지원금을 받지 않는 예술인은 공간을 이용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한 지역 예술인은 “올해 울산문화재단의 예술인 단체 지원이 사라졌고, 울산시 지원도 터무니없이 적어 지원을 받은 단체가 손에 꼽을 정도다. 이런 상황에서 공공시설인 문예회관이 단체나 지원 수혜자에 대관을 우선하면 악순환이 반복될 뿐이다. 공연이나 전시의 기획성·작품성이 아니라 단체 규모에 따라 정해진다면 청년 예술인·신진 예술인은 울산에서 더 활동하기 어려워질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울산문예회관은 지난해까지는 우편과 이메일로 대관 신청을 받아 왔으나 올해부터 온라인 시스템을 도입해 운영하고 있다. 기존에는 일부 대관 경쟁이 치열한 날짜의 경우 심의 전 분산 신청할 수 있도록 예술인들과 조율을 했지만, 올해는 이 과정이 생략되면서 혼란을 더욱 부추겼다는 지적이다.
또 다른 예술인은 “대관 심의를 하는 것은 향유 가치가 높고 예술성이 높은 행사를 열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울산문예회관은 규모 있고 힘센 몇몇 단체의 전유물이 아니다. 지원금 수혜자에 대관 우선순위 둔다면 이는 중복지원으로 볼 수 있어 이치에 맞지 않는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해 울산문예회관 관계자는 “대관 관련해 권익위원회의 권고로 온라인 시스템을 구축해 운영하고 있다. 대관 경합시의 우선사항에 대해서는 2013년 개정된 내부 지침을 적용해 오고 있다. 대관 관련해 예술인들의 고충과 의견에 귀 기울이겠다”고 밝혔다.
서정혜기자 sjh3783@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