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과 중소기업 근로자 간 소득 격차가 커지며, 노동시장에 양극화 갈등을 초래하고 있다. 동일 선상에서 출발한 20대 초반 근로자는 1.4배, 40대 초반은 2.2배, 50대 초반에는 2.5배까지 임금 격차가 벌어진다는 통계 자료가 나왔다. 임금과 복지 등 근로여건이 좋지 못한 중소기업을 기피하고, 대기업 선호 현상을 부추기는 요인이다. 고용시장 이중구조 개선을 위한 정부의 보다 적극적인 중소기업 육성 정책이 필요하다.
국가통계포털 자료에 따르면 2021년 대기업 근로자의 평균 세전 월 소득은 563만원으로 중소기업 근로자(266만원)의 약 2.1배에 달했다. 소득 격차는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커졌다. 30대 초반의 대기업 근로자는 중소기업 근로자보다 209만원, 50대 초반의 대기업 근로자는 중소기업 근로자보다 461만원 소득이 더 많았다. 청년층이 저임금의 중소기업 고용을 기피하는 직접적인 이유다.
대기업과 관련 협력 중소기업이 많은 울산은 전국 어느 지역보다 노동시장 이중구조가 심각한 지역으로 분류된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지난해 울산 대기업 직원 평균 소득(연봉)은 대부분 1억원을 훌쩍 넘겼다. 억대 연봉자는 3만8000명을 넘어섰다. 울산에 본사를 둔 26개 상장기업의 평균 소득도 8484만원을 기록했다.
그런데 중소기업을 포함하면 울산 전체 근로자 평균 소득은 4483만원으로 뚝 떨어진다. 국세청이 지난해 귀속 근로소득 연말정산을 신고한 자료를 바탕으로 집계한 결과다. 울산 전체 근로자의 88%는 중소기업 근로자들이다. 압도적으로 많은 중소기업 근로자들이 평균 소득을 깎아내린게 그나마 이 정도다. 심지어 지역 근로자 4명 중 한명은 연봉 2000만원도 안된다는 통계자료도 있다. 고임금의 대기업과 저임금의 중소기업간 임금격차가 얼마나 큰지 여실히 보여주는 대목이다.
중소기업은 산업도시 울산의 고용시장을 떠받치는 허리이자 대동맥 역할을 하고 있다. 고용 안정성에 불안을 느끼거나 열악한 근로조건 등의 사유로 이직·전직하는 근로자들 역시 거의 중소기업 근로자들이다. 탈 울산 행렬에 유독 중소기업 출신 근로자들이 많은 이유다. 중소기업이 살아나야 울산의 고용시장이 활기를 띨 수 있다. 임금격차 등 노동시장 이중구조를 해소하기 위해 조선업 상생 패키지 사업과 같은 정부의 적극적인 정책지원이 필요하다. 중소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근로 조건을 개선하려는 정부의 정책적인 노력만이 중소기업을 살리고 지방소멸을 막는 길일 것이다.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