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의 애리조나주립대 온라인 캠퍼스는 등록생 수가 6만5000명이 넘는다. 웨스턴거버너대학의 온라인 등록생 수는 무려 12만 명, 서든뉴햄프셔대학의 온라인 등록생 수도 9만7000명에 달한다. 미국의 더피플대학교는 등록금이 없고, 학생들이 평가행정비용만 내는 온라인 대학으로 전 세계 200여 개국 6만5000여 명의 학생이 등록해서 수강하고 있다. 그 외에도 미국을 비롯한 전 세계 웬만한 온라인 대학에서 등록생 수가 1만 명을 상회하는 경우는 부지기수이다.
원격교육은 지난 몇 년 동안 기술의 발전과 인터넷의 보급으로 더욱 중요한 역할을 맡고 있다. 더군다나 지난 3년간의 COVID-19 팬데믹으로 원격교육의 혁신은 교육 방식과 접근 방식에서 큰 변화를 가져왔다. 여기에는 획기적이고 다양한 혁신적인 기술과 방법들이 포함돼 있다.
최근 원격교육의 주요 특징과 혁신적인 변화를 살펴보면, 우선 온라인 학습 플랫폼의 고도화를 들 수 있다. 온라인 학습 플랫폼은 학습 자료, 강의 비디오, 토론 포럼, 과제 제출 등을 제공해 학생들이 언제 어디서나 접근할 수 있는 학습 환경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학습자들은 자신의 학습 속도와 스타일에 맞게 학습을 진행할 수 있다. 둘째로, 대화형 비디오 강의시스템의 진화는 비디오 강의가 단순히 강의 내용을 전달하는 것을 넘어서, 학생들이 실시간으로 질문을 하고 상호 작용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지원되고 있다. 학생들은 질문에 대한 답변을 바로 받을 수 있고, 더 효과적인 학습경험을 할 수 있다. 셋째로는 가상현실 및 증강 현실 기술의 접목이다. 가상현실과 증강 현실 기술은 학생들이 실제로 체험하기 어려운 상황을 시뮬레이션하거나, 학습 자료를 시각화하는 데 사용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의학 학습에서 학생들은 가상현실을 통해 실제 수술 환경을 경험하거나, 공학 분야에서 기계, 설비 구조물을 시각화해 학습할 수 있다. 넷째로 개별 맞춤형 학습지원 체계가 잘 갖춰져 있다. 원격교육은 학생 개개인에게 맞춤형 학습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학습 플랫폼은 학습자의 진도와 성취도를 추적하고, 개인의 학습 요구에 맞는 자료와 퀴즈를 제공함으로써 학습자의 학습 과정을 개별적으로 지원할 수 있다.
더하여 원격교육은 다양한 협업 학습을 위한 도구로도 훌륭한 학습시스템이다. 온라인 교육에서는 지리적, 시간적 제약을 극복하고 학생들이 협업을 통해 함께 문제를 해결하고 프로젝트를 수행할 기회를 제공하는데, 온라인 플랫폼과 도구를 활용해 학생들은 동료들과의 팀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아이디어를 공유할 수 있다. 특히, 원격교육 플랫폼은 학생들의 학습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함으로써 학습자의 진도와 어려움을 파악하고, 개선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고, 이를 통해 학습자에게 개별 맞춤형 피드백과 지도를 제공할 수 있다.
이제 이러한 원격교육의 혁신과 발전은 학생들에게 더욱 유연하고 효과적인 학습경험을 제공하며, 지리적, 시간적 제약을 극복해 더 많은 사람이 교육에 접근할 기회를 제공하고 있고, 그 교육지원체계가 더욱 고도화돼 기존의 대면 중심의 교육의 상당한 부분을 대체하는 수준에까지 이르고 있다. 국내에도 이러한 원격교육 시스템의 고도화, 세계적인 추세, 그리고 미래 고등교육의 발전 방향에 맞추어 제도적인 개선과 더불어 일반대학에서의 원격교육의 확대, 그리고 아시아를 비롯한 글로벌 고등교육 시장진출에도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코로나 사태로 인한 온라인 교육의 확대와 시스템적 개선은 단지 하나의 촉진 수단이었을 뿐, 본래 원격교육은 여러 가지 교육지원 수단의 발전과 더불어 고도화돼 추진해야 할 미래형 교육의 중요한 체계이었음을 상기할 필요가 있다.
남호수 동서대학교 교학부총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