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심융합특구법(도심융합특구 조성과 육성 및 지원에 관한 법률안)이 29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전체회의를 통과했다. 이후 이 법이 국회 일정에 따라 본회의에서 최종 통과되면 울산도심융합특구 사업은 급물살을 탈 것으로 보인다.
이번 도심융합특구법이 국토교통위원회 전체회의를 통과하면서 사실상 5개 광역시의 특구사업은 본격적인 경쟁체제에 들어간 것이나 다름없다. 광역시들은 저마다 특구의 장점을 살려 다른 도시보다 비교우위에 서려 할 것이다. 따라서 울산도 사업추진의 속도를 높여 기업과 인구 유치에 모든 역량을 발휘해야 할 것이다.
도심융합특구 사업은 지방 대도시 도심에 기업과 인재가 모일 수 있도록 고밀도 혁신공간을 조성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 곳에는 산업·주거·문화 등 우수한 복합 인프라를 갖추게 된다. 이를테면 ‘판교 2밸리’와 같은 곳이다. 판교 테크노밸리는 입주 기업 1600여곳, 임직원 7만명, 연매출 120조원이 넘는 신흥 도심융합도시다. 정부는 이같은 도심융합특구를 만들어 지방소멸에 대응하겠다면서 지난 2020년 9월 이 사업을 시작했다. 이후 대구, 광주(2020년 12월), 대전(2021년 3월), 부산(2021년 11월), 울산(2022년 12월) 등 5개 광역시에 차례로 도심융합특구가 지정됐다.
울산도심융합특구는 지난해 연말 울산 울주군 KTX복합특화단지 일원 162만㎡와 울산 중구 테크노파크 일원 31만㎡ 등 총 193만㎡에 지정됐다. 울산시는 내년 5월까지 기본계획을 마무리 짓고 국토부의 승인을 얻은 뒤 2028년까지 부지조성을 완료할 계획이다. 국토연구원은 이미 도심융합특구 조성기본계획 수립에 착수했다.
울산은 이례적으로 2곳이 도심융합특구로 지정됐다. 한 도시에 2개의 융합특구가 선정됐다는 것은 그만큼 선택의 폭이 넓고 기회가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울산은 기존 중후장대형 장치산업에서 미래산업으로 넘어가는 문턱에 서 있다. 그런 면에서 울산도심융합특구 사업에 거는 기대는 여느 때 보다 높다. 미래산업이 정착돼야 일자리를 구하는 젊은층이 유입되고, 또 이를 바탕으로 인구증가와 균형발전이 이뤄진다.
특히 울산은 전국 광역시 중에서 인구유출이 가장 심한 곳이어서 도심융합특구 사업을 앞당겨 진행시킬 필요가 있다. 다른 도시보다 앞서 사업을 진행할 경우 그 프리미엄은 당연히 울산에 돌아올 것이다. 이번 법 통과를 계기로 울산시는 도심융합특구 기본계획을 다시 한번 재점검하고 미래산업의 방향을 확고하게 재정립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