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요즘 각종 현안마다 지역의 여야, 진보·보수 시민단체들간 대치상황이 곳곳에서 표출된다.
민선 8기 들어서만 해도 울산시가 추진하려한 기업인 조형물 설치 사업을 비롯해 울산시의회의 학교민주시민교육조례 폐지 시도 등이 대표적인 사례다. 집권여당이 장악한 시정부와 광역의회 안팎은 물론 도심 전체가 “사과하라” “책임져라” “무조건 안된다” “해야 된다” 등 갈등의 단어들로 도배됐다. 이 과정에서 “진의가 훼손됐다” “행정력이 낭비됐다” 는 등 상대를 향한 불만만 고조됐고, 민의의 전당인 의회에는 경호권이 발동되는 등 갈등이 극에 달했다.
대립과 갈등만이 반복되면서 시민들 피로감 또한 극에 달한다. “제발 아이들의 눈과 귀에 깨끗한 용어, 미래 지향적인 정치상이 보여주길 바란다.” “선진 정치 한발도 못나갔다.” “자기 입장만 취하는 정치 누가 못하나.” “상대 정당에 대한 무조건적인 부정적 현수막이 과연 지역발전에 무슨 도움이 되겠는가.” 등등.
민선 8기가 이제 2년차에 접어들었다.
산업수도 울산경제 지표가 심상치 않다. 울산의 지역내총생산이 10년만에 부산에 역전되고, 생산가능인구 감소폭은 전국 상위권 수준으로 나타났다. 기업체 연구개발비도 수도권과 6대 광역시 중 가장 낮은 증가율을 기록했고, 고성장·창업기업 비중은 전국 최하위권을 보였다. 미래로 도약하지 못하고 성장판이 닫혔다는 우려의 시그널이 곳곳에서 감지된다.
과연 지금처럼 갈등만 존재하는 울산의 정치, 행정력으로 이같은 경제 불황 극복을 위한 키워드를 장착할 수 있을까.
경제 뿐 아니다. 교육, 환경, 보건 등 사회 모든 분야가 마찬가지다. 기업의 투자를 이끌어 내 궁극적으로 우리 아이들이 일할 수 있는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하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어 내는 게 급선무다. 갈등만 상존하는 이 곳에서 지역 청년들, 타지역의 일꾼들이 울산에서 터를 잡고 삶을 영위하기를 꿈꾸겠는가.
지역을 위한 일에 여야가 따로 있을 수 없다. 야권도 시정부의 파트너로 인식할 수 있는 통큰(?) 정치력 또한 울산시에 필요한 요소 중 하나다. 야권으로부터 “대결을 부추기는 안건 말고 시민을 위해 올릴 조례안은 없는가”라는 논평 대신 협치를 통해 “일잘하는 지방정부·지방의회”라는 메시지를 받는 다면 이 보다 더 좋은 뉴스가 있겠는가. 야권도 ‘반대만을 위한 반대’가 아닌 대안을 제시할 수 있는 방안 마련에 좀 더 귀를 기울여야 한다.
결국, 울산시민들의 삶의 질을 높이는 부분에 여야가 헛된 공치레에 힘을 소비하지 말고 서로 협력해 합작품을 만들어내야 한다는 얘기다. 울산 여야가 소모적인 논쟁에 스스로 함몰되지 말고, 지역 정가에 ‘굿뉴스(good news)’를 배달하는데 정치력을 모아야 할때다. 지역 현안 해결을 위해 여야, 진보·보수 시민단체들이 함께 소통의 시간을 갖고 협력하는 장면이 후진국형 정치 퍼포먼스일까. 선진국형 미래 정치 퍼포먼스일까.
이형중 정경부 부장대우 leehj@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