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과 울산 경남을 하나로 묶는 ‘부울경 초광역경제동맹’이 출범했다. 지난 2월 초광역 메가시티를 지향하던 ‘부산·울산·경남 특별연합’을 해체한 이후 새로 구축한 경제동맹이다. ‘지방의 위기는 곧 대한민국의 위기’라는 공동 인식하에 부·울·경이 ‘초광역 발전’이라는 원대한 목표 아래 다시 뭉쳤다. 부울경 초광역경제동맹은 시행착오 끝에 출범한 동맹인 만큼 초광역 경제협력의 성공 모델을 완성해 나가야 할 것이다.
부산·울산·경남 3개 시도는 12일 부산에서 ‘제1회 부울경정책협의회’를 갖고 ‘부울경 초광역경제동맹’을 출범시켰다. ‘동북아 8대 광역경제권’ 비전을 함께 이루어 나가는데 협력한다는 ‘초광역 협력 공동선언문’도 발표했다. 부울경이 상시로 폭넓은 분야에 포괄적으로 동맹 관계를 구축하고 협력한다는 게 핵심이다.
공동선언문에는 지방시대 구축 과제 공동 대응, 주력산업 고도화 및 신산업 육성으로 부울경 산업벨트 구축, 원전·수소·재생에너지 등 에너지분야 초광역 협력사업 추진, 부울경 1시간 생활권 형성을 위한 광역 인프라 공동 구축, 부울경 초광역권 조성을 위한 사업 추진. 부울경 시도민의 실질적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사업 추진 등의 내용을 담았다. 경제동맹인 만큼 산업·경제적 공동 협력내용이 대거 포함됐다.
부울경 초광역경제동맹은 인구 770만명, 지역총생산(GRDP) 288조원이라는 초거대 경제권을 형성한다. 때문에 부울경이 역사적·문화적 동질성을 상호 신뢰 기반으로 해 초광역 경제동맹을 완성한다면 국가의 새로운 성장축으로 도약할 수도 있다. 때맞침 초광역권발전계획이 지난 10일 시행된 ‘지방자치분권 및 지역균형발전에 관한 특별법’에 따라 수립될 ‘지방시대 종합계획’의 구성요소로 시도 지방시대위원회 및 대통령 직속 중앙지방시대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확정되면 다양한 사업 지원을 받을 수 있다는 소식이다. 지방자치법에 근거한 법적 기구인 특별연합 해체에 안타까워하던 지역 주민들로선 그나마 다행스러운 일이다.
부울경 경제동맹이 성공하면 지속적인 인구 유출로 소멸 위기에 직면한 부울경이 재도약할 수 있는 기회를 잡을 수 있다. 울산의 경우 특별연합 대안으로 추진한 포항·경주와 결성한 ‘해오름 동맹’과는 비교조차 할 수 없을 정도의 지역이익을 창출할 수 있다. 그러려면 특별연합처럼 ‘정치’에 휘둘리지 않는 견고한 뿌리 내림이 중요하다. 부울경 초광역경제동맹은 어떠한 세파에도 휘둘리지 않고 ‘공동번영’이라는 목표를 향해 무소의 뿔처럼 나아가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