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울산시가 이달 초 단행한 조직 개편에서 눈에 띄는 부분은 미래전략본부 내 미래교육혁신단 신설이다. 미래교육혁신단은 대학유치팀과 대학혁신팀 2개팀으로 구성돼 대학 유치와 지역대학 혁신 및 활성화, 지자체와 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사업 등을 담당한다. 교육부의 ‘글로컬대학 30’ 사업을 지원하는 특별전담조직도 미래교육혁신단에 있다. 김두겸 시장의 공약사업이기도 한 종합대 유치와 올 들어 사활을 걸고 있는 울산대학교의 ‘글로컬대학 30’ 본 지정을 위한 핵심 거점부서인 셈이다.
이 중 대학 유치는 민선 8기 김두겸 시정부의 여러 공약사업 중에서도 10대 공약에 포함될 만큼 핵심 사업이다. 대학 유치는 사실 이전의 시정부에서도 역점을 두고 해왔던 부분이다. 부족한 울산의 대학 수와 이에 따른 청년 인구 외부 유출이 도시 경쟁력을 약화시키는 주요한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보고 단체장마다 대학 유치에 힘을 쏟고 있다.
실제 울산의 대학은 4년제 대학교 2곳을 포함해 5곳으로 인근 부산(22곳), 대구(15곳, 경산 포함)와는 비교조차 안될 정도로 대학 수가 적다. 울산보다 인구가 훨씬 적은 경주, 양산과 대학 수가 비슷하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매년 수천명의 청년 인재가 수도권 등지로 빠져나가고 있다. 평균적으로 지역 5개 대학 모집에서 울산 출신 학생들의 등록 인원을 제외한 약 4000~5000명의 청년이 외지로 빠져나가고 있는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이에 대학 유치를 통해 청년인구의 외부 유출을 막고, 전문인력을 지역에서 양성해 공급하고자 하는 것은 오래전부터 울산의 당면한 과제가 됐다. 민선 7기에서도 대학 유치를 추진했으나 실패했고, 민선 8기 김두겸 시정부도 취임 이후 대학 유치에 공을 들이고 있으나 별다른 성과는 나오지는 않고 있다. 학령인구가 감소하고 있는 추세에서 정부가 대학 수를 줄여나가는 대학 통·폐합 기조를 보이고 있어 신설 자체가 쉽지 않은데다, 기존 타 지역 소재 대학 이전 유치도 어려운 게 현실이다.
지자체마다 대학 유치에 사활을 걸며 부지 무상 임대 제공 등 파격적 제안을 내걸고 있으나 상황은 녹록지 않다. 수도권 대학들은 학생 유치 어려움 등을 들어 지방행을 꺼리고 있고, 지방의 대학들도 이전하더라도 수도권 쪽을 선호하고 있기 때문이다. 경주의 한 4년제 종합대도 경남의 한 지자체와 경기도의 한 지자체로부터 이전 제안을 받았는데, 경기도 쪽을 우선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대학 법인을 설득해 이전 유치를 이끌어냈다고 하더라도 학교 구성원과 동문 등이 반대할 경우 벽에 부딪힐 수밖에 없다. 2004년에 부산의 한국해양대학교를 이전하기로 확정 발표까지 했다가 동문들과 지역주민들의 거센 반발에 결국 이듬해 백지화된 사례가 대표적이다.
일각에서는 대학 유치보다는 기업체와 연계해 맞춤형 혁신 캠퍼스 설립 등이 현실적이라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울산대의 ‘글로컬대학 30’ 본 지정과 종합대 유치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겠다는 김두겸 시정부의 ‘투 트랙’ 전략이 어떤 결실을 맺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차형석 사회부 차장 stevecha@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