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일 내린 폭우로 전국에 인명·재산 피해가 속출하고 있다. 극한호우로까지 불리는 이번 장마로 인한 참사는 기후위기에 대한 경각심을 불러일으키게 한다.
어느 지역은 폭우가 쏟아지는 반면 어느 지역은 비소식을 뚫고 해가 쨍쨍한 화창한 날씨를 보이기도 한다.
기상청에서는 지형적 특성에 따른 정체전선 영향과 환경적으로 동풍·남풍 등의 다양한 영향으로 오락가락한 날씨가 지속됐다는 설명이다. 하지만 이미 엘니뇨 등 기후위기에 따른 예측불가의 이상 기후 현상으로 수해와 가뭄 등 자연재해는 반복될 수밖에 없다.
이같은 재해로 누군가는 가족을, 누군가는 친구를 잃었고, 다음 자연재해의 피해자는 ‘나’와 ‘우리’가 될 수 있다는 불안감이 밀려든다. 자연재해가 인간의 영역 밖이라고는 하지만 수해가 지나간 후 ‘왜 진작 더 적극적으로 막지 못했나’ 하는 아쉬움이 남게 된다.
다행히 이번에 울산의 피해가 크지 않았다고 해서 끝나서는 안된다는 것이다. 지난 주말 비로 다른 지역 대비 기록적인 폭우가 쏟아지지 않았음에도 구·군에는 도로가 파손되고, 포트홀이 발생하는 등의 크고 작은 피해가 이어졌다.
하지만 무서운 속도로 다가오는 기후위기에서 울산도 안심할 수만은 없다.
각 관계기관 등의 향후 기후위기 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지구 온난화 등으로 이상기후가 발생할 확률은 커지고 있다.
지자체에서도 기후위기를 염두해 정책에 반영하고 있다. 일례로 기후위기 우려에 남구는 삼산배수장에 들어설 계획이던 삼산빙상장을 옥동 구 법원 지구로 이전을 결정했다.
국비 지원까지 받으며 수년간 검토했던 사업이었던 터라 빙상장 이전 결정을 통보받은 주민들의 실망감도 컸지만 그만큼 기후위기를 대비하는 일이 중요해졌다는 의미로도 해석된다.
이 상황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재발 방지다. 기후위기를 마주했을 때 침수위기지역, 침수우려지역 등을 분류해 보다 체계적인 배수 문제 개선에 나서고, 사전 점검에 더욱 철저해야 할 것이다.
또 기후위기만 전문으로 하는 행정 팀을 구성해 피해 정도를 보다 세밀하게 예측하고 상시 모니터링과 시설물 관리 등에 접목할 필요성도 제기된다.
예측하기 어려운 재해가 곳곳에 있는 지금, 더이상의 피해가 발생하지 않기 위해서는 그 어느때보다도 대비가 중요하다. 시설물의 배수 능력과 배수 펌프 가동 여부 등 재해가 오기 전 전면적인 재정비가 필요하다.
옛말에 돌다리도 두드려보고 건너라고 했다. 오늘의 안전이 내일의 안전을 보장해주지 않는다.
기후위기에 발빠르게 대비해 어떠한 재난·재해에도 무사한 안전한 울산을 기대해본다.
강민형 사회부 기자 min007@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