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시가 20일 ‘2023년 제1회 시 혁신도시발전위원회’를 개최해 ‘제2차 울산혁신도시 발전계획(안)’을 심의했다. 울산혁신도시 발전계획은 혁신도시를 지역 성장거점으로 육성하기 위해 5년마다 수립하는 법정 계획이다. 이 계획은 올해부터 2027년까지 적용된다.
그러나 이번 발전계획을 들여다 보면 이 계획들이 과연 기간 내에 현실화될 수 있을까 의구심이 든다. 콘텐츠는 그럴듯하지만 실행력과 예산 등이 뒷받침될지 의문이 든다는 말이다. 물론 다 실현된다면 이보다 더 좋은 일은 없다. 그러나 실행력이 따라가지 않는다면 좀 더 현실적이고, 구체적이며, 실현 가능한 계획을 짤 필요가 있다.
제2차 울산혁신도시 발전계획의 비전은 ‘신산업 창출과 지역 혁신 발전을 선도하는 울산혁신도시’다. 구호로만 보면 무슨 말이지 모를 정도로 애매모호하다. 4대 발전 방향은 이전 공공기관과 연계해 지역 발전을 선도하는 혁신 거점 도시, 개성 있는 테마를 가진 특성화 도시, 누구나 살고 싶은 친환경 녹색도시, 학습과 창의적 교류가 활발한 교육문화도시 등인데, 이 역시 특징이 없기는 마찬가지다. 나름 울산혁신도시 발전계획을 전체적으로 훑어보면 이번 발전계획의 요점은 정주여건 개선과 스마트시티 구축으로 요약된다. 지역경제 활성화나 지역인재양성, 상생발전 등의 항목도 있으나 이는 어디까지나 구색갖추기용으로 읽힌다.
울산혁신도시를 지역발전의 거점으로 거듭나게 해야한다는 주장은 수없이 있어왔다. 그러나 아직도 정주여건은 낙제점이고 지역경제는 위축돼 있으며 인구는 늘어나지 않고 있다. 실제 울산혁신도시는 지난해 6월말 기준 주민등록인구가 1만9900명으로 2017년 2만1166명을 찍은 뒤 꾸준히 감소하고 있다.
혁신도시가 신 성장거점이 되기 위해서는 정주여건을 질적으로 개선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시는 정주 여건을 개선하기 위해 함월무지공원 조성, 혁신도시 문화 그린테마 네트워크 조성, 우정 메이커 스페이스 건립 등 9개 사업을 구상하고 있다고 한다. 스마트시티 구축을 위해서는 교통약자 포용형 DRT·자율주행 DRT, 커뮤니티 카셰어링 모빌리티, 울산 MaaS 스마트 교통패스 등 12개 사업을 검토 중이다. 그런데 이 많은 사업들이 과연 5년 안에 진행될지는 미지수다. 시는 이렇게 많은 사업들을 과시하기보다 실제로 시행할 수 있는 중요한 사업을 가려내 집행력을 높일 필요가 있다.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