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 공약사업이자 울산의 숙원인 국립산업기술박물관 건립 사업이 또다시 삐걱거리고 있다. 반드시 산업박물관을 짓겠다는 의지를 반영한 울산시의 건립 계획에 대해 사업 주관부처인 산업부가 사업 규모 확대에 난색을 표하고 있고, 주관 업무까지 울산시에 떠넘기려 하고 있다. 대선공약 사업을 마치 핑퐁게임하듯 해당 지방자치단체로 떠넘기는 것은 정부의 역할을 포기한 것이나 다름없다. 대통령실과 산업부는 울산 국립산업기술박물관 건립 약속을 반드시 지켜야 할 것이다.
울산시는 국립산업기술박물관의 예비 타당성 조사 신청을 놓고 산업통상자원부와 협의에 들어갔다고 밝혔다. 산업박물관 건립사업의 필요성은 공감하고 있지만 ‘규모 확대’ ‘사업 주체’ 등을 놓고 산업부의 견해차가 크다는 소식이다. 산업박물관은 정부가 울산 건립을 확정한 이후 벌써 11년이 다 돼가는 장기 표류 대선공약이다. 최근 재추진의 동력을 확보한 박물관 건립사업이 앞으로 예비 타당성 조사 대상 선정과 본 조사 통과까지 험로가 예상된다.
국립산업기술박물관은 도시철도와 함께 광역시 승격 27년이 넘도록 광역시로서의 기반 시설이 미흡한 울산이 가장 필요로 하는 숙원 사업이다. 시는 지난 2013년 9월13일 정부의 울산산업박물관건립이 확정되자, 울산대공원 내 건립부지도 확정했다. 그러나 정부는 2017년 KDI 예비타당성 조사 결과를 토대로 사업을 무산시켰다. 이미 확정된 박물관건립 약속을 손바닥 뒤집듯 무산시킨 정부다.
이에 울산시는 박물관 규모를 대폭 축소하는 사전 타당성 용역을 통해 사업의 불씨를 살렸다. 그런데 사업규모와 사업비를 시장 현실과 맞지않게 줄인게 정부의 트집을 사는 빌미가 되고있다. 울산시가 잠정 추계한 박물관 건립 사업비는 정부가 2011년 서울 용산에 지으려던 산업기술박물관(1조2000억원)의 10% 남짓에 불과하다. 그런데도 산업부는 사업 규모 소폭 확대조차 난색을 표시하고 있다. 여기에 한술 더 떠 사업 주관업무를 울산시에 떠넘기려 하고 있다.
이대로는 한국을 대표하는 산업기술박물관 건립은 불가능하다. 조국 근대화의 산업 역사를 오롯이 담지 못한다면 박물관으로의 역할과 기능도 퇴색할 것이다. 주관 기관인 산업부가 지역 입장을 담아 재용역을 하든 보완용역을 하든 규모를 키워 예타를 통과할 방안을 찾는게 마땅하다. 울산이 문화도시로서의 면모와 품격을 높이려면 반드시 산업기술박물관의 품격도 높여할 것이다. 그것은 곧 경제강국 대한민국의 품격을 높이는 일이다.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