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울산 ‘역대 최대’ 국비 반영, 국회 증액에 총력 다해야
상태바
[사설]울산 ‘역대 최대’ 국비 반영, 국회 증액에 총력 다해야
  • 경상일보
  • 승인 2023.08.30 00:1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2024년도 정부가 울산에 투자할 국가예산안이 2조5000억원 규모로 잠정 결정됐다. 국비(국고보조+국가시행사업) 사업은 울산시 살림살이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중요한 사업 재원이다. 내년은 민선 8기 김두겸호의 ‘새로 만드는 위대한 울산’을 향한 대장정이 반환점을 돌아서 종착역을 향해 전력 질주해야 하는 중요한 시기다. 울산시와 지역 정치권은 남은 기간 정부안 미반영 사업과 일부 반영 사업에 대한 국회 증액이 이뤄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야 할 것이다.

울산시는 29일 정부의 강력한 긴축재정에도 불구하고 내년 국가예산 정부안에 2조5268억원이 반영됐다고 발표했다. 지난해 정부안 보다 13.5% 증가한 ‘역대 최대’ 규모다. 정부안이 9월1일 국회에 제출된 이후에도 증액될 가능성이 있어 시가 올 초 설정한 목표액(2조6000억원) 달성은 무난할 것으로 예상된다.

신규사업 가운데는 남부권 광역관광개발사업, KTX 역세권 일반산단 진입도로 개설, 울산하늘공원 제2추모의 집 건립 등이 반영됐다. 계속사업은 3D프린팅 융합기술센터 구축, 영남권 글로벌숙련기술진흥원 설립, 플라스틱 리&업사이클링 실증지원센터 구축, 울산외곽순환고속도로 건설, 산재전문 공공병원 건립비 등이 반영됐다.

내년도 국비 확보에 이같은 성과를 거둘 수 있었던 것은 김두겸 울산시장을 필두로 연초부터 국비 확보를 위한 행정력을 전력 투구하고, 강력한 정치적 영향력을 가진 지역 국회의원의 전폭적 지원, 울산의 미래 60년을 위한 알짜 사업 집중 발굴 등 ‘삼박자’가 맞아떨어졌기 때문이라는 게 울산시의 분석이다. 하지만, 내년도 정부 국비 반영안을 자세히 뜯어보면 아쉬움도 남는다. 주력산업의 성장력 둔화로 일자리 감소와 광역시 소멸 위기에 직면한 울산의 미래를 위한 신규 국비 사업이 눈에 띄지 않는다는 점이다. 멀티오믹스 기반 난치암 맞춤형 진단·치료기술 상용화, 영남권 제조업 AI융합 기반조성, 청년창업 허브공간 조성 등이 고작이다.

미래형 사업은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하고, 인구 소멸을 막아야 하는 절체절명의 위기에 처한 울산에서 꼭 필요한 과제다.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선도하는 신산업 분야의 기술 개발과 인프라 구축 등 미래의 씨앗을 뿌리는 작업인 것이다. 울산은 차기 주력산업이 될 이차전지를 비롯해 수소와 암모니아 등 에너지, 전기차·수소차, 친환경선박 등 주력산업의 첨단 기술력을 키워야 한다. 미래형 사업을 통해 혁신 역량을 강화하고, 도시의 미래 가치를 높여나가야 할 것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
  • 대형 개발로 울산 해양관광 재도약 모색
  • [기자수첩]폭염 속 무너지는 질서…여름철 도시의 민낯
  • 신입공채 돌연 중단…투자 외 지출 줄이고…생산직 권고사직…허리띠 졸라매는 울산 석유화학업계
  • 아마존·SK, 7조규모 AI데이터센터 울산에
  • 울산, 75세이상 버스 무료 교통카드 발급 순항
  • 방어진항 쓰레기로 ‘몸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