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9일 오전에 찾은 울주군 서생면. 마을 곳곳에 “새울원전 5·6호기 유치를 찬성한다” “안전한 원자력발전” 등의 현수막이 내걸려 있다. 찬성 현수막 옆에는 “주민 의견 수렴 없는 자율유치는 누구의 생각인가” 등의 원전 유치 반대 현수막도 함께 보였다. 특히 새울원자력본부 앞 사거리에서부터 새울원전본부 입구까지 약 200m 구간 도로 양쪽에는 이 같은 원전 유치 찬반 현수막이 빼곡히 들어차 있다.
이달 들어 서생면 이장단협의회를 중심으로 가칭 ‘새울원전 5·6호기’ 유치 서명운동에 나서는 등 유치 움직임이 본격화 되면서부터 나타난 현상이다. 정부가 현재 수립중인 제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신규 원전 건설 계획이 담길 것으로 알려지자 주민들이 앞장서 원전을 지어 달라고 요구하고 나선 것이다. 신규 원전 부지로는 울주군과 함께 경북 영덕군, 강원도 삼척시 등이 거론되고 있다. 서생면 주민들은 현재 건설 중인 새울원전 3·4호기처럼 신규 원전을 지역 주민 자율 유치로 추진하겠다는 전략이다.
이에 서생지역 어민 등 어업종사자들을 중심으로 반대 움직임을 보이며 찬반 갈등이 격화되고 있다. 실제 서생지역 어민단체들은 자율유치 반대 비상대책위원회를 꾸리고 결의대회를 여는 등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김진곤 서생면 어업인협의회 비대위원장은 “현재 원전 유치 관련 움직임이나 활동은 전체 주민들을 대상으로 충분한 의견 수렴 없이 어민들은 무시한 채 이뤄지고 있어 절차상 문제가 있다”며 “또한 1·2호기와 3·4호기 관련한 어업 보상도 아직 다 끝나지 않은 상황에서 이 같은 추진은 말이 안된다”고 주장했다.
비대위는 유치 반대 활동과 함께 조만간 한수원 본사와 산업통상자원부도 항의 방문한다는 계획이다.
또 유치 서명운동과 관련해서도 새울원전 공사에 투입된 단기 외지 근로자를 대상으로 서명을 하게 했다거나 외부 개입설 등 각종 잡음도 나오고 있다.
반면 이장단협의회는 서명은 지역 주민들을 대상으로 진행했으며, 일부 반대하는 주민들은 있으나 찬성하는 주민들이 더 많다는 입장이다.
임영환 서생면 이장단협의회 회장은 “각 마을 이장들이 그 전부터 주민들의 의견을 수렴했으며, 긍정적으로 답변했다. 주민 서명도 현재까지 3000명 가량 받았다”며 “일부 어민들이 반대를 하고 있는데 조만간 만나서 논의를 하겠다”고 밝혔다.
이장단협의회는 조만간 주민 서명지를 울주군이나 울주군의회 등에 전달할 것으로 전해졌다.
한편 서생면에는 총 22개 마을에 8400여명이 주민등록상 거주 인구로 돼 있으며, 이 중 어민과 해녀 등 어업종사자는 약 1400명이다.
차형석기자 stevecha@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