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늦은 감은 있으나 울산 도심과 가깝다는 지리적 이점이 부각되며 대규모 공동주택 건설과 양질의 공공 인프라 확충이 진행되는 등 도시로서의 면모를 갖추어 가고 있다. 하지만 이렇게 거듭 발전하고 있는 청량읍에도 깊은 난제가 있다. 바로 고등학교 부재 등 교육여건 문제다.
초등학교의 경우 청량읍 전체에 문수초와 청량초, 삼정초 등 3개가 있으나, 개발 압력이 높은 덕하 일대는 청량초 하나뿐이다. 초등학교 신설을 위한 학교용지가 있었으나 교육당국 등의 개발 예측 실패에 따라 폐지되어 현재 아파트 부지로 활용되고 있다. 학교용지 해제는 한때 특혜 논란으로까지 비화됐으며, 초등학교 추가 신설 계획이 없다던 울산시교육청은 현재 늘어나는 학령 인구를 대비해 청량초 학급수를 두 배 이상 늘리는 증축공사를 진행하는 ‘웃픈’ 상황까지 만들었다.
하나뿐인 중학교인 청량중도 현재 증축 중이며, 유일한 고등학교였던 세인고(옛 홍명고)는 지난 2020년 웅촌으로 이전한 뒤 폐교해 울주군 6개읍 가운데 유일하게 없는 지역이 됐다. 사학재단의 도덕성 문제 등으로 학생들에게 외면받아온 세인고의 이전·폐교에 지역민들의 의견 수렴절차 조차 없었으며, 교육청도 폐교 수순을 밟는 학교에 일정 비용을 대는 등 한몫했다.
때문에 현재 중학교를 졸업한 청량지역 지역 학생들은 10㎞ 이상 떨어진 온양읍 남창고나 남구 신정동 공업탑로터리 인근 고교로 진학하고 있다. 원거리 통학에 따른 불편뿐만 아니라, 타의적으로 울산 남구로 진학하게 된 학생들은 울주군에 생활하고 있음에도 대학입시에서 농·어촌 특별전형의 자격을 받지 못하는 불이익까지 받는 실정이다. 이 같은 열악한 교육여건은 개발이 한창인 청량읍으로의 인구 유입 저해와 인구 유출 촉진을 유발하며 지역발전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 청량읍 주민들이 지역의 교육 환경 개선을 위해 국민청원을 시작으로 울산교육청에 주민서명서를 전달하는 등 여론전을 확산시켜 나가는 이유도 이 때문이다.
학부모와 주민, 그리고 지역 정치권의 지속적인 요구에 울산교육청은 설립 필요성에 공감한다며 주민들의 기대치를 높여왔다. 다만, 학교 설립 요건을 충족하지 않아 교육부의 중앙투자심사 신청이 어렵다는 이유로 미뤄왔으며, 최근에는 교육부가 300억원 미만 소규모 학교 설립 권한을 중앙투자심사가 아닌 시·도교육청 자체 투자심사로 가능하도록 규제를 완화하자 뜬금없이 ‘울주군이 부지를 제공하면 설립을 검토하겠다’ 는 조건을 내걸며 또 한발 물러섰다.
학생들은 교육 주체의 한 축이자 수요자다. 가칭 청량고 신설 추진이 지연되는 만큼 피해를 보는 학생 수는 늘어날 수밖에 없다. 수요자 입장의 선제적 교육행정이 아쉬운 상황이다.
물론 현재 청량중학교 졸업생 규모만 따진다면, 고교 신설 요구는 다소 무리해 보일 수 있다. 하지만 청량초와 청량중 증축 규모 등을 감안하면 지역의 고교 학령인구 증가는 예측 가능한 상황이다. 여기에다 청량고 신설은 대규모 도시개발이 추진 중인 온양지역 학령인구 증가 문제 해소 방안으로도 검토될 수 있는 사안이다.
지역 학생들이 원거리 통학과 농어촌 특별전형 혜택 등에서 불이익을 받지 않도록, 그리고 교육여건 탓에 청량지역 성장이 발목 잡히지 않도록 청량고 신설을 위한 울산교육청의 적극 행정을 기대해 본다.
이상걸 울산 울주군의회 의원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