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허위·오인 신고 급증…‘안전한 도시’ 만들기 강도 높여야
상태바
[사설]허위·오인 신고 급증…‘안전한 도시’ 만들기 강도 높여야
  • 경상일보
  • 승인 2023.09.07 00:1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최근 서울 신림역과 경기 분당 서현역에서의 ‘묻지마 흉기 난동 사건’ 발생 이후 치안 불안감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울산지역에서 허위·오인 신고가 급증하고 있다. 흉흉한 사회 분위기 속에 시민들의 치안 불안감이 커지면서 허위·오인 신고도 늘어나고 있다. 특히 허위 신고는 실제 범죄가 발생했을 때 현장 대응에 공백을 초래해 무고한 시민들을 위험에 빠트리게 하는 범죄 행위다. 울산 시민들이 안전하게 생활할 수 있는 견고한 사회안전망 구축 등 ‘안전한 도시’ 만들기에 경찰과 시민이 다 함께 노력해야 할 때다.

울산경찰청에 따르면 올해 1~8월까지 울산지역에서 발생한 허위 신고는 총 96건으로, 지난해 동기 49건 대비 2배 가까이 증가했다. 같은기간 오인 신고는 2206건으로 작년 동기 대비 22%가량 늘었다. 울산에서만 하루 9.2건꼴로 오인신고가 접수되고 있는 셈이다. 일례로 지난달 17일에는 울산시청과 철도시설에 폭탄 테러 예고가 접수돼 군·경이 일대 수색에 나섰으나 허위로 밝혀졌다. 지난달 20일에는 남구의 한 등산로에서 도배작업에 쓰는 도구를 흉기로 오인한 신고가 접수돼 경찰이 출동하기도 했다.

허위·오인 신고 급증은 최근 무차별적이고 예측이 어려운 ‘묻지마 범죄’로 인해 시민들의 불안과 두려움이 높다는 방증이기도 하다. 울산도 ‘묻지마 범죄’의 무풍지대가 아니다. 지난 6월에는 편의점 직원의 태도가 못마땅하다고 흉기를 휘둘러 상해를 가한 울산의 60대가 경찰에 검거됐다. 또 지난달 7일에는 초등학교에서 흉기 난동을 벌일 것이라는 예고 글을 올린 울산의 한 초등학생이 경찰에 검거되기도 했다.

허위·장난신고는 촌각을 다툴 만큼 위급한 상황에 처한 시민의 생명을 지킬 수 있는 골든타임의 기회를 박탈하고, 경찰력을 낭비하는 사회악(惡)이자 범죄행위다. 이로이내 경찰의 피로감이 높다고 한다. 시민들은 흉흉한 사회 분위기에 휩쓸려 무분별하게 신고하는 행위를 자제해야 할 것이다. 경찰도 허위·오인 신고에 대한 처벌을 강화해 경찰력 낭비 요인을 차단하고, 지역사회에서 허위·오인 신고의 폐해에 대한 교육을 강화해야 할 것이다.

이호영 울산경찰청장은 최근 “울산시민의 불안감 해소를 위해 가시적인 위력순찰을 통한 범죄분위기 사전제압, 신속한 대응체제 구축, 엄정한 수사 등 총력 대응할 것”이라고 강조한 바 있다. ‘안전한 도시’ 만들기에 경찰과 울산시, 교육청 등 관계기관의 협력과 견고한 공조체계가 필요한 시점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
  • 대형 개발로 울산 해양관광 재도약 모색
  • [기자수첩]폭염 속 무너지는 질서…여름철 도시의 민낯
  • 신입공채 돌연 중단…투자 외 지출 줄이고…생산직 권고사직…허리띠 졸라매는 울산 석유화학업계
  • 아마존·SK, 7조규모 AI데이터센터 울산에
  • 울산, 75세이상 버스 무료 교통카드 발급 순항
  • 방어진항 쓰레기로 ‘몸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