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시가 ‘울산 남부권 신도시 건설 기본계획 수립 용역’을 완료했다. 시는 동해남부선과 7번 국도 우회도로 개통 등 주변 여건 변화에 맞는, 주거·산업·교육·문화 기능을 갖춘 복합신도시를 건설하기로 했다고 9일 밝혔다. 대상은 울주군 청량·웅촌권과 온양·온산·서생권의 역세권 및 접경 지역이다.
그 동안 울산시는 도시계획을 수립하면서 남부권 보다는 북부권과 서부권에 역량을 집중시킨 것이 사실이다. 그도 그럴 것이 현대자동차와 현대중공업 등 대기업을 중심으로 중소기업단지가 북부권으로 뻗어나가고, 서부권에는 KTX울산역을 중심으로 역세권 개발이 계속 진행됐기 때문이다.
그러나 남부권은 상대적으로 인구도 적고 산업단지도 크지 않아 갈수록 인구가 빠져나가고 있다. 이처럼 북부권과 서부권의 개발에 비해 남부권이 소외되자 남부권 주민들은 노골적으로 불만을 드러내고 있다. 특히 남부권의 주거·산업·교육·문화 기능은 다른 지역에 비해 크게 뒤떨어져 불만을 사고 있다. 그런데 이번에 시가 완료한 ‘울산 남부권 신도시 건설 기본계획 수립 용역’은 남부권의 개발을 촉진하는 큰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기본계획에 의하면 청량·웅촌권은 산업 기능 집적화 및 국가산업단지 배후도시의 정주여건을 강화하고, 온양·온산·서생권은 산업·물류 및 관광레저 기반과 주거기능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개발하게 된다. 건설 사업은 1단계 4개 지구와 2단계 4개 지구 등 총 8개 지구로 나눠 추진되는데, 총 423만2000㎡의 면적에 수용인구은 4만5000명이다.
그 동안 울산 남부권의 문제는 인근 도시로의 인구 유출이었다. 부산 기장과 경남 양산시 웅상과 비교했을 때 울산 쪽의 정주여건이 상대적으로 열악해 상당수 주민들이 울산에 공장을 두고도 생활은 기장, 웅상 등에서 하는 이중적인 모습이 나타났다.
따라서 온산국가산단 및 석유화학공단 등에 산단 배후도시를 빨리 조성해 주거·산업·교육·문화 기능을 갖춘 자족형 복합단지를 빨리 만드는 일은 매우 시급한 일 중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또 철도를 활용해 산업·물류·유통·연구 단지를 조성하고 인근에 친환경 주거단지를 조성하는 일도 중요한 일이다. 한마디로 나가는 인구는 막고, 들어오는 인구는 유인하는 접경지역 전략을 펴자는 것이다.
울산은 인구가 가장 빠르게 빠져나가는 도시 중의 하나다. 또 울산은 면적이 넓지만 균형발전이 제대로 되지 않은 곳이기도 하다. 이번 기본계획을 통해 울산의 인구유입과 균형발전을 도모할 필요가 있다.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