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NIST는 에너지화학공학과 송현곤 교수와 한국화학연구원 정밀화학연구센터 정서현 박사,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울산차세대전지 연구개발센터 김태희 박사 공동 연구팀이 배터리 내에서 분자 결합이 가능한 불연성 고분자 반고체 전해질을 개발했다고 17일 밝혔다.
UNIST에 따르면 배터리 화재는 외부 요인이나 내부 단락으로 내부에 열이 축적되고, 전해질과 양극이 분해되면서 화학적 라디칼 연쇄 반응이 진행돼 열 폭주가 일어나면서 발생한다.
라디칼은 하나의 전자를 가지는 원자 혹은 분자로 매우 불안정해 화학적 반응성이 높다. 지금까지 불연성 전해질에는 과량의 난연 첨가제를 사용하거나 매우 높은 끓는점의 용매를 사용했는데, 이런 전해질은 높은 점도로 이온 전도도가 매우 낮아 배터리 성능을 저하하는 등 여러 단점이 있었다. 이에 연구팀은 전해질에 미량의 고분자를 첨가한 반고체 전해질을 만들었다.
고분자 반고체 전해질은 기존 액체 전해질 대비 33%의 높은 리튬 이온 전도도를 보였다.
이를 활용한 파우치형 배터리는 수명이 기존보다 110% 향상됐다.
송현곤 교수는 “고분자를 활용한 반고체 전해질은 개존 배터리 조립 공정에도 바로 적용할 수 있어 추후 불연성 배터리 상용화를 가속화시킬 것”이라고 말했다.
박재권기자 jaekwon@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