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의대 정원 확대 방침을 정하고 발표 시기와 증원 규모 등을 고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의사단체들은 정부가 의대 증원 방안을 일방적으로 발표할 경우 모든 수단을 동원한 강력 투쟁에 들어갈 것이라고 밝혔다. 이 가운데 울산을 비롯한 지방에서는 의사 부족으로 많은 환자들이 고통받고 있다. 의사단체들이 강력투쟁을 예고하고 있지만 전국적으로 의사편중 현상이 심화된 상태에서 의사단체들의 주장은 공허하게만 들린다. 의사단체들은 고통받고 있는 지역 환자들의 어려움을 충분히 헤아려주기를 바란다.
복지부 조사에 의하면 지역의료기관 입원환자 중 해당지역 환자의 구성비를 나타내는 ‘지역환자 구성비’가 가장 낮은 곳은 서울로, 59.7%를 기록했다. 이 말은 서울에 있는 병원에 입원한 환자의 40%는 서울이 아닌 지역에서 왔다는 뜻이다.
이처럼 지방에 살면서 서울로 올라와 큰 병원에서 진료받는 환자 수는 갈수록 늘어나고 있다. 국민건강보험공단 자료에 따르면 서울·경기·인천을 제외한 지방 거주자 중 빅5 병원에서 진료받은 인원은 2013년 50만245명에서 지난해 71만3284명으로 42.5% 급증했다.
특히 울산은 의료기반이 전국에서 가장 열악한 도시다. 그러다보니 환자들의 걸음은 더욱 더 서울로 향하고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2021년 기준 전국 의사 수는 10만9937명이고, 이 가운데 서울에만 3만2045명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의사의 29%가 서울에 근무하고 있는 것이다. 의사 3명 중 1명은 서울에 있다는 얘기다. KTX 첫차를 타고 서울에 있는 병원에 다녀왔다는 말은 이제 흔한 이야기가 됐다.
울산에서 의대정원을 확대하는 것은 울산시민들의 오랜 숙원이다. 그러나 전국적으로 의대정원은 17년째 동결됐다. 그 결과 현재 인구 1000명당 의사 수는 2.1명으로 OECD 평균(3.7명)의 56% 수준이다. OECD 회원국 중 우리보다 1000명당 의사 수가 적은 나라는 멕시코가 유일하다. 울산대는 매년 40명을 의과대학 신입생으로 선발하고 있으나 전국 7대 도시의 의대 정원과 비교할 때 턱없이 적은 규모다. 울산은 인구 1000명당 의사 숫자가 1.6명밖에 되지 않는 의료 취약지다.
정부는 이번 기회에 지방 의사부족 해소는 물론 지방의료 격차에도 손을 볼 필요가 있다. 특히 응급의학과, 외과, 소아청소년과, 산부인과 등에 대해서는 체계적인 지원을 나서야 한다. 그래야 울산을 비롯한 지방의 의료기반이 무너지지 않는다.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