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의 경제성장을 구성하는 ‘총요소 생산성증가율’과 ‘생산요소 투입 성장 기여도’ 모두 전국 평균을 크게 밑돌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총요소 생산성 증가율’은 생산요소(노동·자본·토지)의 투입량 변화를 제외한 생산량(효율)의 증가율을 의미하는 경제지표다. 생산의 효율성이 낮다는 것은 지역 경제성장의 지속가능성이 떨어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울산의 경제가 생산요소 투입에 의존하는 경제성장 구조로 고착화되고 있다는 진단이다. 울산의 경제를 기술혁신, 경영혁신, 노동의 질적 향상 등 총요소생산성 향상을 통한 성장구조로 전환하기 위한 차별화된 정책이 필요하다.
산업연구원에 따르면 울산의 총요소 생산성증가율(2016~2021년)은 -2.69%로 전국에서 가장 낮았다. 2021년 지역 총요소 생산성증가율은 -2%에 근접했고, 생산요소 투입 성장 기여도는 1.0%로 전국 평균에 못미쳤다. 반면 서울·대전·광주·대구·부산 등 광역권 거점 도시는 생산요소 투입에 의존하는 경제성장 구조에서 총요소생산성 증가가 지역 경제성장을 주도하는 구조로 변화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울산이 생산성 증가를 통한 경제성장 구조 대열에 합류하지 못하고 있다는 뼈아픈 진단이다. 장기화되고 있는 주력산업의 위기를 진단하고 해법을 모색하는 계기로 삼아야 할 것이다.
울산의 또다른 위기는 최근 총요소 생산성과 생산요소 자원이 수도권과 충청, 강원지역에 집중되고 있다는 점이다. 산업연구원은 이로인해 수도권 (및 인근지역) 중심의 ‘1극 구조’로 나타나고 있다고 진단했다. 그간 수도권 대 비수도권의 이분법적 구도에서 지역 간 경제 성장 격차가 이제는 ‘중부권 대 남부권’ 양상으로 변해가고 있다는 것이다.
이같은 진단은 울산연구원이 지난 6월 기업 창업이나 이전시 입지결정의 심리적 한계선이 수도권에서 준수도권(대전·충남·충북·강원)까지 확장되고 있다는 분석과 궤적을 같이 한다. 연구원은 수도권과 거리가 멀수록 인구가 줄고 기업과 생산가능인구 감소율도 확대되고 있다면서 근거 데이터를 제시했다. 그러면서 지방살리기의 실효성을 높이려면 수도권·준수도권과 비수도권을 구분한 정부차원의 지원을 주문한 바 있다.
산업연구원도 울산의 생산성 제고 및 인력·투자 유치를 위한 종합적 접근 전략을 주문했다. 노동의 질적 향상과 기술혁신 뿐만 아니라 규제 완화와 창업 활성화 등 기업 활동 지원 정책 등 생산의 효율성을 끌어올리기 위한 지역 경제정책이 필요한 울산이다.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