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소가 친환경에너지로 부각되고 있는 가운데 정작 수소 누출이 발생해도 경보가 제때 작동하지 않는 등 안전 시스템에 구멍이 뚫렸다는 지적이 나온다. 수소도시를 표방하고 있는 울산이 수소자동차, 수소트럭, 수소트램 등 다양한 산업군에서 수소를 활용하고 있는 만큼 안전관리 방안도 새롭게 정립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25일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소속 한무경 의원이 한국가스안전공사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21년부터 올해 8월까지 진행된 전국 수소충전소 상설점검에서 1676건의 수소 누출이 발견됐다.
울산지역 내 한 수소충전소의 경우, 132차례 점검에서 79차례나 수소가 누출됐다. 또 가스안전공사가 수소충전소 안전성 확보를 위해 약 17억원을 투입해 수소 용기의 압력이나 유량 등에 문제가 발생할 경우 이를 알려주는 수소충전소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축했으나, 상설 점검에서 발견된 수소 누출 건에 대해서는 경보가 단 한 차례도 작동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가스안전공사의 ‘수소충전소 상설 점검 분석보고서’를 참조할 때 시공사의 시공 역량 미달 및 자율안전관리 미흡으로 유추된다. 수소 누출 원인의 약 47%가 초고압 압축기 가동에 따른 심한 진동으로 인한 누출이며, 배관 이음매 접합 부위에서 가장 많은 누출이 발생하고 있다.
이에 가스안전공사는 “충전소에 설치된 감지기는 농도 1%이상, 점검시에 사용된 휴대용 감지기는 0.1% 미만 농도도 감지되기에 미량의 누출도 집계됐다”며 “국정감사 관련 자료가 너무 확대해석돼 입장자료를 준비중”이라고 답했다.
수소는 연소하기 쉬운 기체로 최소점화 에너지가 매우 작아 정전기 등에 의해서도 쉽게 발화할 수 있다. 또 연소한계(수소와 산소의 혼합물이 점화되어 폭발이 일어나는 데에 필요한 농도나 압력의 범위) 범위가 매우 넓어 화재 또는 폭발이 일어나기 쉽기 때문에 위험성이 높다.
이에 수소충전소 보급 확대를 위한 인프라 확충뿐만 아니라 안전성 확보를 위한 기술력 제고 및 안전 규정에 관한 법제화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지난 2020년 청주 도원 수소충전소에서 압력용기 연결부 수소 누출이 발생해 자칫 폭발 사고가 발생할 뻔하기도 했다. 신동섭기자 shingiza@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