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시는 산불감시 취약 장소인 중구 입화산과 국가공단 일대를 대상으로 광고풍선 드론을 활용한 산불감시체계를 도입한다고 31일 밝혔다. 풍선드론은 헬륨가스 풍선에 드론을 매다는 방식으로, 100~300m 상공에서 반경 10㎞까지 관찰할 수 있다.
풍선 드론은 지름 3.45m 크기의 실리콘 재질 풍선에 헬륨가스를 채우고, 삼각형 연 모양의 비행체 아래 36배 줌이 가능한 높은 해상도(FHD)의 카메라를 매단 형태다.
별도로 제작된 전선을 연결해 전력을 계속해서 공급할 수 있어 주 1회 헬륨가스를 보충하기 위해 하강하는 것을 제외하면 24시간 내내 비행촬영이 가능하다. 풍속 22m/s 이하의 바람에서 운영할 수 있어 특별한 강풍 상황이 아니면 언제든 활용할 수 있다.
산불 예방 홍보 효과도 있어 산불감시원의 퇴근 이후 산연접지 농작물 소각에 따른 산불 발생을 현저하게 낮출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울산시는 올해 산불방지를 위해 11월1일부터 내년 5월15일까지 산불방지대책본부를 운영한다.
또 11월부터 총 45명으로 구성된 인화물질 제거 전담반을 편성, 산과 연접한 도심 주택가나 국가산업단지 주변에 배치한다.
도심과 국가산업단지 산불 감시체계 강화를 위해 국가산단 주변에 산불감시 카메라 6대를 추가 설치, 총 26곳에서 28대의 카메라를 운영한다. 울산에서는 올해 사람의 부주의로 발생한 산불이 7건 발생해 1억4000여만원의 산림 피해가 발생했다. 석현주기자 hyunju021@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