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일 시에 따르면 전년도 기준 울산 사회적기업 예산은 국비와 지방비를 합쳐 50여억원이었으나 내년도 사업비는 100% 삭감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사회적기업은 사회서비스를 제공하고 취약계층 일자리를 창출하는 영리와 비영리 중간 형태의 조직이다.
올해 기준 현재 울산에는 사회적기업이 예비와 일반 모두 합쳐 175곳이 지정돼있다. 그간 예비는 2년, 일반 기업은 3년 등 최대 5년간 인건비, 사회보험료 등을 지원받았으나 내년부터는 이같은 직접지원이 전체 중단된 것이다.
시 관계자는 “보조금에 의존하지 말고 자생적으로 사업을 키워야 한다는 정부 기조에 따라 직접 지원 없이 간접 지원책으로 변환됐다”며 “다만 단계적 삭감이 아닌 갑작스러운 전체 삭감에 내년도 사회적기업 실무센터와 기업들의 일부 타격은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같은 예산 삭감에 현장에서는 취약계층의 고용 불안과 사회서비스 제공 축소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는 목소리가 높다.
실제 지난해 기준 울산 사회적기업 고용인원은 1846명이며 이중 취약계층 1165명을 차지했다.
울산에서 인테리어 업종 사회적기업을 운영하는 A씨는 “사회적기업 대부분은 지자체 지원금을 감안해 상당수 직원이 취약계층이다. 지원예산이 없어지며 고용 승계에 대한 부담이 가장 커졌다”며 “당장 영리적인 부분 추구가 커질 수밖에 없어 비영리적 활동은 축소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토로했다.
정혜윤기자 hy040430@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