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장 차관은 이날 UNIST 11동 화상회의실에서 30대 조교수, 박사후 연구원, 석박사통합과정 학생 등 신진연구자들과 간담회를 가졌다. 이 자리는 정부 R&D 투자 포트폴리오와 제도 혁신 방향에 대한 신진연구자들의 의견을 수렴하기 위해 마련됐다.
장 차관은 “이번 R&D 구조개혁은 그간 누적된 비효율적 투자를 줄이고 퍼스트 무버가 되기 위해 필요한 분야에 재배분하는 과정”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산업부는 신진연구자 양성을 위해 내년도에 올해 대비 17% 증액한 2300억원을 투자하고, 산업기술 R&D에 해외연구기관이 참여할 수 있도록 전면 개방하는 한편 글로벌 협력 전용 R&D도 올해보다 28% 증액한 2800억원을 지원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또 “소규모 나눠주기식 R&D 지원은 줄였지만 차세대 이차전지, 첨단 반도체 패키징 등 첨단전략산업 분야에 대해서는 투자를 확대했다”며 “이를 통해 잠재력 있는 신진연구자들이 미래기술을 안정적으로 연구하고 세계적 수준의 연구에 도전할 수 있는 기회도 확대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간담회에 참석한 한 UNIST 신진연구자는 “연구자의 연구환경 개선과 도전적 R&D에 대한 투자가 늘어나길 기대하며 현장과의 소통을 지속해달라”고 요청했다.
장 차관은 “앞으로 정부는 연구자들이 ‘R&D다운 R&D’에 매진할 수 있도록 투자 조정과 더불어 연구과제를 기획하고 평가하는 방식도 바꿔나가겠다”며 “현장 의견 등을 적극 반영해 실효성 있는 정책을 만들겠다”고 약속했다.
박재권기자 jaekwon@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