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제기된 울산 동구 전하오수중계펌프장에서 악취로 주민들이 불편을 호소(본보 11월15일자 7면)하고 있는 것과 관련, 울산시 등 당국의 현장 실사 결과 악취 저감을 위한 약품 투입량이 기준치보다 적게 투입된 게 주 원인으로 파악됐다.
울산 관내 전체 오수중계펌프장에 대한 전수 조사와 점검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16일 울산시에 따르면 시는 지난 14일과 15일 이틀간 현장에 대한 실사를 실시했고, 이 결과 악취가 나는 것으로 판단하고 원인 규명을 진행하고 있다. 시는 전하펌프장 내 수소이온농도지수(pH)가 기준치보다 낮아 악취가 발생한 것으로 보고 있다.
수질개선사업소 등은 오수중계펌프장 내 집수조 등에 약품 처리를 통해 pH를 일정 기준 농도까지 높여 냄새를 억제하고 있다. 농도가 변화하면 약품 등을 투입해 농도를 맞추게 된다.
관련 메뉴얼에 따르면 pH농도는 10~12 사이를 유지해야 하나 전하펌프장의 경우 당시 기준보다 낮았다는 것이다.
방어진수질개선사업소가 약품 비용 부담과 냄새 감지 센서가 반응하지 않는 등의 이유로 메뉴얼보다 낮은 농도에도 약품을 덜 투입해 악취가 발생했다는 것이 시의 설명이다.
시는 처리 구역 내 오수·폐수처리, 분뇨처리 등을 위해 설치된 오수중계펌프장 등의 시설을 용연·온산·회야·언양·방어진·굴화·농소수질개선사업소 등에 관리대행사업장으로 등록하고, 위탁 운영을 하고 있다.
방어진수질관리사업소는 2021년 9월부터 2026년 8월말까지 관리대행을 맡아 5년간 164억원의 시비를 관리대행료로 지급 받았다. 1년간 위탁 운영비는 32억8000만원 수준이다.
시는 시민 불편 최소화를 위해 민원 제기 이후 즉시 전하펌프장 시설에 대한 청소를 시행하고, 새로운 약품으로 교체했다. 약품 투입량도 기준치에 맞춘 후 냄새 추이를 지켜보겠다는 입장이다.
다만 매년 반복되는 주민들의 악취 호소에도 기준치에 미달되는 농도가 유지됐다면, 관리 위탁을 넘긴 시설 총괄 주체인 시의 관리·감독 부실 책임을 피할 수 없다는 지적이다. 또 농도 미달 등이 전하펌프장 한 곳만의 문제는 아닐 수 있어 울산 전체 오수중계펌프장 및 위탁관리업체에 대한 전반적인 현장 실사 및 점검이 필요해 보인다.
동구도 일정 기간 동안 냄새측정기 센서 등을 이용해 하루 2차례 이상 전하펌프장을 포함한 6곳의 오수중계펌프장에 대해 냄새 측정을 진행할 예정이다.
시 관계자는 “약품을 새 것으로 교체해 현재 추이를 지켜보고 있다”며 “냄새가 지속된다면 탈취기 교체나 시설물 구조를 조정하는 등의 방식으로 냄새를 저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오상민기자 sm5@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