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계 최초 수소전기트램 상용화를 목표로 한 ‘수소전기트램 실증사업’ 마지막 세부과제가 울산에서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내년도 국비 예산을 추가 확보하지 못할 경우 ‘세계 최초 상용화 타이틀’을 대전에 빼앗길 처지에 놓였다.
22일 울산시에 따르면 1015억원 규모의 내년도 국비증액 발의 사업 가운데 울산 도시철도(트램) 1호선 건설 비용인 55억원도 포함됐다. 내년 중 실시설계를 착수하려면 당장 관련 예산 확보가 시급한 상황이다. 정부 예산안은 이미 확정된 만큼 남은 방법은 국회에서 증액하는 길뿐이다.
울산 도시철도(트램) 1호선 건설 사업은 올해 8월 타당성 재조사를 통과했고, 현재 기본계획수립 용역을 진행 중이다. 기본계획이 수립되면 울산시는 국토부 승인을 받고 곧바로 기본 및 실시설계 절차에 돌입할 예정이다. 늦어도 내년 8월께 실시설계에 착수하고, 2025년 연말까지 마쳐야 착공도 차질없이 이뤄질 수 있다.
이처럼 울산 도시철도(트램) 1호선 건설 비용이 내년도 예산에 포함되지 못한 것은 기획재정부의 예산 책정 이후 타당성 재조사가 통과됐기 때문이다. 이에 원활한 사업 추진을 위해 지역 국회의원들의 역할이 막중하고, 정부 역시 울산시의 시급성에 대해 어느정도 공감대를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울산이 내년도 국비 확보에 사활을 걸고 있는 가운데 대전에서는 2028년 개통을 목표로 수소트램 도입을 서두르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현재 대전 도시철도 2호선 트램 건설사업은 한국개발연구원(KDI)이 적정성 재검토 중이다. 총 사업비가 기본설계 과정에서 당초보다 2배 이상 급증하면서 사업 적정성 재검토가 진행됐다. 대전 트램 건설 사업비는 2020년 기본설계 당시 7492억원으로 추산됐으나 지난해 6월 기본설계를 마친 후엔 1조4000억원대로 대폭 늘었다.
적정성 재검토는 통상적으로 1년가량 소요되는데 대전시는 올 연말까지 조기 마무리를 요청한 상태다. 내년 상반기 착공을 하려면 늦어도 올해 12월까지는 적정성 재검토가 끝나야 한다고 판단한 것이다.
만약 적정성 재검토가 조기 통과된다면, 대전은 내년 착공에 들어가 2028년 개통하게 된다. 울산은 2026년 1월 착공해 2028년 연말 완공한 뒤 2029년 1월 개통 예정이다.
다만 울산과 달리 대전은 수소 생산·공급 인프라가 부족한데다, 지하화 공사 관련 적용 공법에 논란이 일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울산은 정차장 15개에 11㎞ 구간인 반면, 대전은 정차장 45개에 38㎞ 구간이다. 또 5개 구간은 지하화해야 하는 상황으로 울산보다 공사 과정상 변동이 많아질 수밖에 없는 구조다. 또 대전은 수소 생산·공급 체계 구축도 쉽지 않은 상황이다. 울산은 석유화학단지에서 부생 수소를 생산하고, 현대자동차를 잇는 수소배관망이 이미 구축돼 있지만, 대전은 생산·공급 인프라가 부족하다. 대전시는 이를 해소하기 위해 유성구 금고동 쓰레기매립장에서 나오는 바이오가스 생산량을 기존 400t에서 500t으로 100t 늘린 뒤, 수소로 전환·생산하겠다는 계획을 검토하고 있다.
시 관계자는 “울산 도시철도(트램) 1호선 공사 예정 구간은 기존 차로 내 레일설치가 주 공정으로 지하 매설물 이전이나 고가도로 및 지하노선 통과 등의 난공사가 없어 원활한 계획 추진이 가능하다”면서 “지역민의 숙원사업인 만큼 차질 없이 진행될 수 있도록 국비 확보 등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밝혔다. 석현주기자 hyunju021@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