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향사랑기부제’ 시행 1년을 앞두고 울산 지자체별로 모금액이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절반 가량은 목표액을 대폭 하향 조정했고, 또 기부금의 구체적 활용 방안도 아직 수립하지 못하고 있다.
23일 울산시와 5개 구·군에 따르면, 울산 지자체의 고향사랑기부제 모금액은 11월 현재 기준 울산시 7300만원(목표액 1억5000만원), 중구 3200만원(목표액 3200만원), 남구 1억4000만원(목표액 1억6000만원),동구 8000만원(목표액 12억원), 북구 2900만원(목표액 3000만원), 울주군 1억5800만원(목표액 2억원) 등이다.
울주군이 가장 많은 누적 모금액을 기록했고, 북구가 가장 적었다. 두 지자체 간 모금액 차이는 1억2900만원에 이른다.
1억원을 넘긴 곳은 울주군과 남구 두 곳 뿐이다.
광역자치단체인 울산시도 울주군의 절반 가량 밖에 모금하지 못했다.
남구는 올해 초 고향사랑기부제의 추진을 위한 각 부서별 유기적인 정책 연계를 목표로 부구청장을 단장으로 하는 TF팀 추진단을 구성했고, 울주군은 관내 온산공단 기업체는 물론 서울역 등 타 지역까지 홍보활동을 실시하는 등 대대적인 온·오프라인 홍보활동을 펼쳐왔다.
목표액을 달성했거나 근접한 곳은 중구(당초 목표액 7800만원→3200만원)와 남구( 〃3억원→1억6000만원), 북구( 〃8000만원→3000만원)이나, 이들 지자체는 올해 수립한 당초 목표액과 비교해 목표액을 절반에서 절반 이상 하향 조정한 것이어서 사실상 달성했다고 보기 어렵다.
기부금의 구체적 활용 방안 등 사업 계획도 2곳을 제외한 나머지 지자체는 아직 수립하지 못한 상태다.
남구는 고향사랑기부금으로 신혼부부 대상 출산 장려 정책과 예방접종 지원사업을 추진할 계획이고, 동구는 원룸·빌라 등을 매입해 리모델링한 뒤 청년노동자들에게 저렴한 가격에 임대해주는 청년노동자 공유 주택 조성사업을 수립했다.
하지만 동구의 경우 목표액에 10분의 1도 달성하지 못해 사업이 언제 이뤄질지 미지수다.
울산시 등 나머지 지자체는 활용 방안을 놓고 고심중이다. 기부자가 사업에 공감하고 국민복리증진에 기여해야 하는 등 두 가지를 모두 충족해야 하기 때문이다.
시 관계자는 “내년 상반기에 시민들을 대상으로 아이디어 공모를 통한 선호도 조사 실시해 기부금 활용방안을 결정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차형석기자 stevecha@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